권위에 대한 복종 - 스탠리 밀그램


■ 복종의 딜레마

26쪽
따라서 오랫동안 미덕으로 추앙받아온 권위에 대한 복종이 해로운 목적에 기여할 때 새로운 측면들을 떠안게 된다. 즉 미덕은커녕 사악한 죄악으로 바뀐다.

31쪽
어쩌면 이것이 우리 연구의 가장 핵심적인 교훈일지 모른다. 다시 말해서, 적대감 없이 자기 일을 수행하는 평범한 사람들도 어마어마한 파괴적 과정의 대리자가 될 수 있는 것이다. 

32쪽
실제 상황에서는 가치가 행동의 유일한 원천은 아니다. 

33쪽
그들은 단지 유능하게 일을 수행하는 것에만 신경 쓸 뿐, 도덕적 사안에는 거의 신경을 쓰지 않는다. 즉 목표를 설정하고 도덕성을 평가하는 좀 더 폭넓은 일은 자신이 돕기로 한 실험의 권위자에게 위임하는 것이다. 

34쪽
책임감의 실종은 권위에 대한 복종에서 가장 흔한 결과이다. 권위 아래에서 행동하는 사람이 양심의 기준에 어긋나는 행동을 하더라도, 그가 도덕관념을 잃었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그보다는 근본적으로 다른 설명이 필요하다. 그는 자신의 행동에 대해 도덕적 감성으로 반응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의 도덕적 관심은 권위자의 기대에 어떻게 부응할 것인가에 대한 관심으로 바뀐다.

37쪽
따라서 전체 인간의 행동은 분절화되어 있어서 누구도 사악한 행동의 수행을 결정하지 않으며 그 결과를 직면하지 않는다. 그러한 행동에 완전한 책임을 지는 사람은 이제 없다.

38쪽
인간으로서 그 상황에 전적으로 몰입함으로써 모든 상황에 완전히 인간적으로 반응하던 떄도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노동이 분화하면서 상황은 변했다. 사회를 어떤 수준 이상으로 분화시켜 사람들은 한정되고 전문적인 일을 담당할 경우, 일과 삶에서 인간적인 면이 없어진다. 이제 사람들은 상황의 전체적인 것을 보지 못하고 일부분만 보기 때문에, 포괄적인 관리 없이는 행동할 수가 없다. 그는 명령에 복종하지만, 그렇게 할 때 제 행동에서 소외된다.

■ 역할 바꾸기

144쪽
그래서 피험자는 전기충격을 요구하는 학습자와 그것을 금지하는 실험자를 직면하게 되었다. (......) 단 한 명의 피험자도 학습자의 요구에 응하지 않았다. 모든 피험자가 실험자의 명령에 따라 전기충격을 중단했다. (......) 이런 의미에서, 그들은 학습자에 대한 권리를 학습자 본인보다 권위자가 더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 결정적으로 중요한 것은 명령의 내용이 아니라 권위자라는 명령의 출처이다.

150쪽
그들은 거리낌 없이 그 일반인을 위협했고 그의 판단을 비판하거나 그를 개인적으로 비난했다. 이런 태도는 다른 실험에서 권위자가 명령권을 가졌을 때 피험자들이 변함없이 보이던 정중하고 공손한 태도와는 매우 대조적이었다. 그 실험에서는 복종하지 않을 때조차 권위자에게 예의 바르고 심지어 공손한 모습을 보였다.

159쪽
그들은 권위자가 자신들의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했다. 마찬가지로 사람들이 일상 속에서 하는 많은 행동들이 그들에게는 내적 도덕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권위에 의해 유발된다.

162쪽
확실히 두 권위자의 의견 차이는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전혀 갈피를 잡지 못하게 만들었다.

165쪽
상충하는 명령을 내리던 두 명의 실험자는 더 이상 위계 구조 안에서 동일한 지위를 가지지 않는다. 동전 던지기를 통해 한 명은 희생자가 되고, 다른 한 명은 권위자의 신분을 갖게 된 것이다. (......) 전기의자에 묶인 실험자는 권위가 전혀 없는 희생자보다 나을 것이 없었다.

168쪽
위계적 통제에서는 신분이 엄청나게 더 높을 필요가 없다. 즉 아주 조금만 더 높아도 그걸로 충분하다. 균형 잡힌 시소에 조약돌 하나를 더 얹어놓는 것과 같이, 통제는 작은 증가분에 의해 전부 또는 전무의 방식으로 결정된다. 그 최종 결과는 타협이 아니다.

■ 집단 효과

177쪽
동료들의 반란은 실험자의 권위를 훼손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었다. 이 연구에서 수행한 모든 변형 실험 중에서 여기에 보고한 조작만큼 실험자의 권위를 약화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은 없었다.

182쪽
피험자는 실험의 전체 과정에는 참가하지만 직접 전기충격기의 레버를 누르는 행동은 하지 않음으로써, 보조적인 역할만을 수행했다. 그리고 이런 피험자의 새로운 역할은 참고 견디기가 수월하다. (......) 실험을 마지막 단계까지 계속하지 않은 사람은 40명 중에 단 3명뿐이었다. 

■ 복종하는 이유

185쪽
따라서 안정적인 사회 조직은 환경을 통제할 수 있는 집단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집단 내 관계를 조절함으로써 내부의 폭력을 감소시킨다. 그러한 사회 구조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복종할 수 있는 잠재력이 필수적이다.

194쪽
어떻게 평소 예의바르고 점잖은 사람이 이 실험에서는 다른 사람에게 그렇게 가혹하게 행동할 수 있었을까? 그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는, 양심은 충동적인 공격행동을 억제하지만 그 사람이 위계질서로 편입되는 시점에서 그 양심의 힘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196쪽
주관적인 관점에서 볼 때 어떤 사람이 사회적 상황에서 신분상 더 높은 사람의 통제를 받을 수 있다는 식으로 스스로를 정의할 때 그는 대리자적 상태에 있는 것이다. 이런 조건에 놓인 사람은 더 이상 자기 행동에 책임감을 갖지 않으며, 스스로를 다른 사람의 소망을 달성하는 도구로 생각한다.

■ 복종의 과정

200쪽
그래서 부모가 "약한 아이들을 떄리지 마라"라고 말할 때, 그는 두 가지 명령을 하는 것이다. 하나는 명령받는 사람이 작은 아이들을 다루는 방식과 관련이 있고, 두 번째는 '내게 복종하라!'는 함축적 명령이다. 따라서 도덕적 이상의 기원은 복종적 태도의 주입과 분리해서 볼 수 없다.

201쪽
권위에 대한 복종은 미국의 공장 근로자들 못지않게 아샨티(Ashanti: 가나의 한 부족)에게도 존재하지만, 토착민들은 권위자들 모두를 개인적으로 알고 있다. 반면에 현대 산업사회에서 사람들은 비인격적인 권위에 복종할 것을 강요받기 때문에, 훈장이나 유니폼, 직함 등이 함축하는 추상적 계급에 반응한다.

210쪽
부족장은 결혼에 동의하거나 사형집행을 명령한다. 따라서 권위자의 변덕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인다는 것은 적응성이 높은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권위자는 개인보다 더 강한 존재로 보이는 경향이 있다. 개인은 때때로 권위자를 비인격적인 힘의 소유자로 보기 때문에, 그의 명령은 사소한 인간의 바람이나 소망을 초월한다. 권위를 가진 사람은 어떤 초인적인 특성을 획득하게 된다.

211쪽
즉 행동은 자신이 하더라도 피험자는 권위자에게 그 행동의 의미를 정의하도록 허락한다. 복종의 주요 인지적 기초를 구성하는 것이 바로 권위에 대한 이러한 이데올로기적 편애이다.

213쪽
보통 사람들은 성장하는 과정에서 공격적 충동의 포현을 억제하도록 배운다. 그러나 문화권위자가 지시하는 행동을 내적으로 통제하도록 사람들에게 가르치는 데 거의 전적으로 실패했다. 그렇기 때문에, 후자의 행동이 인간의 생존에 훨씬 더 큰 위험이 된다.

213쪽
실제로, 자주 그런 상황에 놓이는 사람은 한편으로 자신이 바라는 것과 다른 한편으로 다른 사람이 자신에게 요구하는 것 사이의 대립을 뚜렷하게 인식한다. 비록 자신이 그 행동을 했더라도, 그는 그것을 자신의 본성과는 상관없는 행동으로 본다. 그렇기 때문에 명령에 따라 이루어지는 행동은 아무리 비인간적일지라도 피험자의 관점에서는 사실상 죄가 없는 것이다. 그래서 피험자가 자신의 가치를 확인하기 위해 찾는 사람이 바로 권위자이다.

■ 긴장과 불복종

226쪽
논리적인 것과 심리적인 것 사이의 차이점이 여기에 있다. 전적으로 양적으로만 보면, 돌을 던져 한 사람을 죽이는 것보다 마을에 대포를 쏴서 1만 명을 죽이는 것이 더 사악한 일이다. 그러나 심리적으로는 전자가 훨씬 더 실행하기 어렵다. 거리, 시간, 심리적 장벽들은 도덕의식을 둔화시킨다. (......) 진화를 통해 면전 공격을 억제하는 많은 강력한 요인들이 발달한 반면, 원격 공격을 억제하는 요인들은 그만큼 발달하지 못했다.

231쪽
책임을 다른 방식으로도 벗어던질 수 있다. 희생자가 처벌을 자처했다고 판단함으로써, 책임을 그에게로 전가하는 것이다. 실험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것으로 희생자를 비난하고, 더 사악하게는 그의 어리석음과 완고함을 비난한다. 여기서 사람들은 책임감의 전가에서 희생자에 대한 불필요한 비하로 나아간다. 심리적 메커니즘은 속이 훤히 보여서 희생자가 하찮은 사람이면 그에게 고통을 주는 것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다.

■ 에필로그

266쪽
개인이 지닌 덕목 중에서 가장 높은 가치를 부여하는 충성, 규율,그리고 자기희생이 전쟁이라는 파괴의 구조적 원동력을 제공하고, 사람들을 악의적인 권위 체계에 속박시키는 바로 그 속성이라는 사실은 아이러니다.


286쪽
엘름스는 복종한 피험자들은 복종을 거부한 피험자들보다 더 권위주의(더 높은 F-점수)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네이버 책] 권위에 대한 복종 - 스탠리 밀그램

 

 

Posted by 몽자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