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단계 십자말풀이
01 □□
잘 때 몸을 덮기 위하여 피륙 같은 것으로 만든 침구의 하나
02 □□□
방이나 솥 따위에 불을 때기 위하여 만든 구멍
□□□에 불을 지핀다.
03 □□□
같은 뜻을 가지고 모여서 한패를 이룬 무리
사물놀이 □□□에 가입했다.
04 □□□
나무나 풀의 살아 있는 낱 잎
하얀 꽃 □□□ 눈송이처럼 날리네.
05 □□□
벼락김치: 무나 배추를 간장에 절여 당장 먹을 수 있도록 만든 김치
□□□: 배추, 상추, 무 따위를 절여서 곧바로 무쳐 먹는 반찬
06 □□□□
저녁때를 전후한 어느 무렵이나 동안
과제를 □□□□이면 끝낼 줄 알았는데 밤을 새워야 할 것 같다.
07 □□□□□□
<부사> 어떤 일이 일어나는 때가 언제일지 알 수 없을 때 쓰는 말
흔히 어떤 일을 몹시 안타깝게 기다릴 때 쓴다
어머니는 소식이 끊긴 아들이 돌아오기를 □□□□□□ 기다렸다.
08 □□ □□ □□□□
모래로 물 막는다: [속담] 수고는 하나 아무런 보람이 없는 헛일을 함을 이르는 말
[속담] 힘을 다하고 정성을 다하여 한 일은 그 결과가 반드시 헛되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09 □□
몸이 허약한 사람 ≒ 병골, 약골
10 □□□
더불어 이야기할 만한 벗
11 □□□
물에 흠뻑 젖은 옷이나 물건 따위를 이르는 말
비에 젖어 □□□가 된 옷과 신발을 볕에 말렸다.
12 □□□
가물어서 곡식이나 푸성귀 따위가 마르는 재앙
□□□이 들어서 올해 밭농사는 근래에 보기 드문 흉작이었다.
13 □□□
<부사> 어떤 일을 계속하는 동안에 어쩌다가 이따금 ≒ 때때로, 어쩌다, 간간이
세상 살아가며 □□□ 이런저런 일도 있어야 재미가 있겠죠.
14 □□□
돈이나 물품의 총액을 적고 그것을 작게 잘라서 낱낱이 밝힘. 또는 그렇게 적은 것
15 □□
일의 한 가지가 끝나는 단락
□□가 나다. □□를 내다. □□를 짓다.
아궁이
방이나 솥 따위에 불을 때기 위하여 만든 구멍 = 아궁
→ 아궁이에 불을 지피다„ 아궁이에 불을 때다
이파리
나무나 풀의 살아 있는 낱 잎
░ 잎: ① 식물의 영양 기관의 하나 ② 이파리를 세는 단위
잎사귀: 낱낱의 잎 (주로 넓적한 잎)
벼락김치
무나 배추를 간장에 절여 당장 먹을 수 있도록 만든 김치
겉절이
배추, 상추, 무 따위를 절여서 곧바로 무쳐 먹는 반찬 = 생절이 (生--)
░ 겉절이다
① 김치를 담글 때 배추 따위의 숨을 죽이려고 소금을 뿌려 애벌로 절이다
② 겉절이를 만들다
저녁나절
저녁때를 전후한 어느 무렵이나 동안
≒ 저녁때: ① 저녁인 때 = 저녁녘 ② 저녁밥을 먹는 때
해거름: 해가 서쪽으로 넘어가는 일 | 그런 때 = 해름
이제나저제나
어떤 일이 일어나는 때가 언제일지 알 수 없거나 그 일을 몹시 안타깝게 기다릴 때 쓰는 말
→ 어머니는 소식이 끊긴 아들이 돌아오기를 이제나저제나 기다렸다.
모래로 물 막는다
수고는 하나 아무런 보람이 없는 헛일을 한다
≒ 모래로 내 막는다, 모래로 방천한다
방천 (防川)
둑을 쌓거나 나무를 많이 심어서 냇물이 넘쳐 들어오는 것을 막음 | 그 둑
→ 방천을 하다„ 방천을 쌓다
≒ 냇둑: 냇물과 닿아 있는 기슭에 쌓은 둑
공든 탑이 무너지랴
공들여 쌓은 탑은 무러질 리 없다 | 힘을 다하고 정성을 다하여 한 일은 그 결과가 반드시 헛되지 아니하다
░ 공든 탑도 개미구멍으로 무너진다: 조그마한 실수나 방심으로 큰일을 망쳐 버린다 = 개미구멍으로 공든 탑 무너진다
개미구멍
① 개미가 파 놓은 구멍
② 개미가 구멍을 파고 모여 사는 곳 = 개미집
░ 개미굴 (--窟)
① 개미가 뚫은 굴
② 개미가 구멍을 파고 모여 사는 곳 = 개미집
③ 복잡하게 얽힌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개미굴 같은 골목길
☞ 개미구멍이 둑을 무너뜨린다: {비유} 작은 결점이라 하여 등한히 하면 그것이 점점 더 커져서 나중에는 큰 결함을 가져오게 된다
= 개미구멍 하나가 큰 제방 둑을 무너뜨린다, 큰 둑도 개미구멍으로 무너진다, 큰 방죽도 개미구멍으로 무너진다
방죽
① 물이 밀려들어 오는 것을 막기 위하여 쌓은 둑
→ 홍수로 마을 방죽이 무너졌다.
② 파거나, 둑으로 둘러막은 못
→ 방죽을 파다.
☞ 방죽을 파야 개구리가 뛰어들지: 물이 고일 수 있는 방죽을 파 준비를 해 놓아야 개구리가 뛰어든다 | 무슨 일이나 자기가 원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하려면 그에 합당한 준비를 갖추거나 노력을 해야 한다
궐공
몸이 허약한 사람
≒ 병골 (病骨) [병ː골]: 병이 몸에 배다시피 하여 매우 허약한 몸 | 그런 사람
→ 어려서는 병골이던 사람이 이젠 제법 장골이 되었다.
⇔ 장골 (壯骨): 기운이 세고 큼직하게 생긴 뼈대 | 그런 뼈대를 가진 사람
≒ 약질 (弱質) [약찔]: 허약한 체질 | 그런 체질을 가진 사람
☞ 약질 목통에 장골 셋 떨어진다: 몸이 약한 사람의 목구멍에 덩치 큰 사람 셋이 들어가 빠진다 | 빼빼 마르고 여윈 사람이 놀랍게도 음식을 엄청나게 많이 먹는다
≒ 약골 (弱骨) [약꼴]: ① 몸이 약한 사람 ② 약한 골격
목통
① 목구멍의 넓이
② 목의 둘레 = 목둘레
③ {속되게} 목 → 그놈의 목통을 조르다.
④ {놀림조} 욕심 많은 사람
⑤ {비유} 재물을 푸지게 쓰는 태도 → 목통이 커서 그런가 씀씀이가 예사롭지 않다.
푸지다
매우 많아서 넉넉하다
→ 푸지게 먹다„ 음식이 푸지다
말동무 [말ː똥무]
더불어 이야기할 만한 친구 = 말벗
→ 말동무를 삼다„ 말동무가 되다
☞ 말동무하다
물말이
① 물에 말아서 풀어 놓은 밥 = 물만밥
② 물에 흠뻑 젖은 옷이나 물건 따위
→ 비에 젖어 물말이가 된 옷과 신발을 볕에 말렸다.
░ 국말이: 국에 만 밥이나 국수
밥말이: 국 따위에 밥을 넣어 만 것
막말이: 마구 말아 만든 음식
땅가물
가물어서 곡식이나 푸성귀 따위가 마르는 재앙
→ 땅가물이 들어서 올해 밭농사는 근래에 보기 드문 흉작이었다.
░ 봄가물 [봄까물]: 봄철에 드는 가뭄
첫가물 [첫까물]: 가물철이 시작되는 첫머리
불가물: 아주 심한 가뭄 ≒ 왕가물 (王--), 왕가뭄 (王--)
가다가
<부사>
어떤 일을 계속하는 동안에 어쩌다가 이따금 ≒ 때때로, 어쩌다, 간간이 (間間-)
→ 가다가는 그런 일도 있어야 살 재미가 있지.
속가름 [속ː까름]
돈이나 물품의 총액을 적고 그것을 작게 잘라서 낱낱이 밝힘 | 그렇게 적은 것
☞ 속가름하다
≒ 명세 (明細): ① 분명하고 자세함 ② 물품이나 금액 따위의 분명하고 자세한 내용
메지
일의 한 가지가 끝나는 단락
→ 메지가 나다„ 메지를 내다„ 메지를 짓다
→ 그는 한 가지 걸리던 일이 단박에 그렇게 메지가 나자 홀가분한 기분으로 좌우를 둘러보았다.
단박
<명사>
그 자리에서 바로를 이르는 말
→ 그는 한 번밖에 본 적 없는 범인을 단박에 알아보았다.
→ 그는 음악을 듣자마자 단박에 제목을 말했다.
░ 단숨에 (單--): 쉬지 아니하고 곧장 → 단숨에 들이키다„ 단숨에 해치우다
≠ 단박: 맛이 단 박
어문일치 독트린 MONZAQ
'어문일치 독트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말 겨루기] 454회 5단계 십자말풀이 _문제, 정답, 어휘 (0) | 2013.09.11 |
---|---|
[우리말 겨루기] 454회 1-4단계 _문제, 정답, 어휘 (0) | 2013.09.11 |
[우리말 겨루기] 453회 1-4단계 _문제, 정답, 어휘 (0) | 2013.09.11 |
[우리말 겨루기] 451회 5단계 십자말풀이 _문제, 정답, 어휘 (0) | 2013.09.11 |
[우리말 겨루기] 451회 1-4단계 _문제, 정답, 어휘 (0) | 2013.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