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단계 십자말풀이
01 □□
늘 정하여 놓고 거래를 하는 곳
□□손님
02 □□□
산과 산 사이에 움푹 패어 들어간 곳
산 □□□마다 봄을 알리는 진달래가 피었다.
03 □□□
작은 것을 크게 보이도록 알의 배를 볼록하게 만든 안경
04 □□□
① 보자기에 물건을 싸서 꾸린 뭉치
② [비유] 속에 들어 있는 마음이나 생각 또는 재담 따위
친구와 밤새도록 이야기 □□□를 풀어놓았다.
05 □□□
일이나 사건을 풀어 나갈 수 있는 첫머리
마침내 해결의 □□□를 찾았다.
06 □□□
① 이러니저러니, 옳으니 그르니 하며 남을 못살게 굴거나 괴롭히는 일
② 서로 자기주장을 고집하며 옥신각신하는 일
07 □□□
① 매인 데도 없고 의지할 데도 없는 홀몸
② 다른 짝이 없이 홀로만 있는 사물
08 □ □□ □□□ □□□
[속담] 일이 이미 잘못된 뒤에는 손을 써도 소용이 없음을 이르는 말
09 □□□□
[부사] 여러 번에 걸쳐 오랫동안
비록 작은 회사지만 지금 투자하지 않으면 평생 □□□□ 후회할 거야.
10 □□
① 이렇게도 하고 저렇게도 할 수 있는 두 가지 방도
② 달리 주선하거나 변통할 여지
11 □□□
농사꾼이나 일꾼들이 끼니 외에 참참이 먹는 음식
12 □□
얼음이나 눈 위에서 미끄러지지 아니하도록 신 바닥에 박는 뾰족한 징
13 □□□
공간을 나눌 때 칸막이로 두는 물건
집이나 사무실 따위에서 공간을 나눌 때 쓰는 '파티션'을 대신할 수 있는 말
14 □□□□
몹시 원통하거나 슬플 때에 넋두리를 하는 일
15 □□
밤이나 상수리 따위가 충분히 익어 저절로 떨어질 정도가 된 상태. 또는 그런 열매
단골
① 늘 정하여 놓고 거래를 하는 곳 = 단골집
→ 단골 가게„ 단골 거래처„ 단골로 드나들다
② 늘 정하여 놓고 거래를 하는 손님 = 단골손님
☞ 단골소리 [단골쏘리]: 늘 정하여 놓고 하는 말이나 타령
→ 딸은 아침마다 단골소리로 옷 타령을 한다.
골짜기
산과 산 사이에 움푹 패어 들어간 곳 = 골짝, 산골짜기 (山---), 산골짝 (山--)
→ 산 골짜기마다 봄을 알리는 진달래가 피었다.
돋보기
① 작은 것을 크게 보이도록 알의 배를 볼록하게 만든 안경
≒ 돋보기안경 (---眼鏡), 노인경 (老人鏡)
② 작은 것을 크게 보이도록 하는 볼록 렌즈
→ 돋보기로 빛을 쏘아 불을 붙였다.
☞ 돋보기눈: 가까이 있는 물체를 잘 볼 수 없는 시력 ≒ 원시 (遠視)
⇔ 바투보기: 가까운 데 있는 것은 잘 보아도 먼 데 있는 것은 선명하게 보지 못하는 시력 ≒ 근시 (近視)
보따리 (褓--)
① 보자기에 물건을 싸서 꾸린 뭉치 | 그 뭉치를 세는 단위
② {비유} 속에 들어 있는 마음이나 생각 또는 재담 따위
→ 추억의 보따리„ 질문 보따리
실마리
① 감겨 있거나 헝클어진 실의 첫머리
→ 헝클어진 실타래를 풀기 위해선 먼저 실마리부터 찾아야 한다.
② 일이나 사건을 풀어 나갈 수 있는 일의 첫머리 = 단초 (端初)
→ 해결의 실마리„ 화해의 실마리„ 대화의 실마리„ 사건의 실마리
실랑이
① 이러니저러니, 옳으니 그르니 하며 남을 못살게 굴거나 괴롭히는 일
→ 실랑이를 당하다„ 실랑이를 받다
② 서로 자기주장을 고집하며 옥신각신하는 일
→ 실랑이를 하다„ 실랑이를 벌이다
░ 승강 (昇降)
① 오르고 내림
② 서로 자기주장을 고집하며 옥신각신하는 일 = 승강이 (昇降-)
☞ 실랑이하다, 실랑이질, 실랑이질하다„ 승강하다, 승강이하다, 승강이질, 승강이질하다
외톨이
① 매인 데도 없고 의지할 데도 없는 홀몸 = 외돌토리
② 다른 짝이 없이 홀로만 있는 사물
≒ 외톨 = 외톨박이
① 알이 한 개만 여물어 들어 있는 밤송이나 마늘통 따위
② 매인 데도 없고 의지할 데도 없는 홀몸
░ 두톨박이: 알이 두 개만 여물어 들어 있는 밤송이나 마늘통 따위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소를 도둑맞은 다음에서야 빈 외양간의 허물어진 데를 고치느라 수선을 떤다 | {비꼬아} 일이 이미 잘못된 뒤에는 손을 써도 소용이 없다
≒ 말 잃고 외양간 고친다, 도둑맞고 사립/빈지 고친다
사립
사립짝을 달아서 만든 문 = 사립문 (--門), 사립짝문 (---門)
사립짝
나뭇가지를 엮어서 만든 문짝 = 삽짝
빈지
한 짝씩 끼웠다 떼었다 할 수 있게 만든 문 = 널빈지
두고두고
<부사>
여러 번에 걸쳐 오랫동안
→ 두고두고 후회하다„ 두고두고 간직하다„ 두고두고 써먹다
→ 아버지는 빚을 갚느라고 두고두고 고생하셨다.
두수
① 이렇게도 하고 저렇게도 할 수 있는 두 가지 방도
→ 이번 일에는 두수가 있을 수 없다.
② 달리 주선하거나 변통할 여지
→ 돈 몇 십 원에 사람들이 죽어 가는 것을 보고도 두수 없는 나입니다.
곁두리
농사꾼이나 일꾼들이 끼니 외에 참참이 먹는 음식
→ 춘보 며느리가 곁두리로 고구마를 쪄 내왔다.
≒ 새참 [새ː참]: 일을 하다가 잠깐 쉬면서 먹는 음식 = 사이참, 중참 (中-), 샛요기 (-療飢)
참밥 [참ː빱]: 일을 하다가 잠시 쉬는 동안에 먹는 밥
☞ 아침곁두리: 아침과 점심 사이에 먹는 곁두리
저녁곁두리: 점심과 저녁 사이에 먹는 곁두리
☞ 샛요기하다
참참이 [참ː차미]
<부사> 일정한 동안을 두고 이따금
→ 가다가 참참이 휴게소에 들르자.
░ 참참: 일을 하다가 이따금 쉬는 시간
→ 참참에 만들다„ 참참으로 공부하다
참 [참ː]
① <명사> 일을 하다가 일정하게 잠시 쉬는 동안
→ 저녁 참에는 산책도 할 겸 근처 서점에 다녀와야겠다.
② <명사> 일을 시작하여서 일정하게 쉬는 때까지의 사이
→ 두어 참이 지나야 점심시간이 된다.
③ <명사> 일을 하다가 잠시 쉬는 동안이나 끼니때가 되었을 때에 먹는 음식
→ 오늘 참은 홍씨 부인이 내올 비빔국수다.
④ <명사> 길을 가다가 잠시 쉬어 묵거나 밥을 먹는 곳
→ 그는 길거리의 허름한 주막에 숙소 참을 댔다.
⑤ <의존명사> 무엇을 하는 경우나 때
→ 그는 좀 바쁜 서류를 작성하던 참인 듯 다시 펜대를 놀리기 시작했다.
→ 그녀는 직장에서 막 돌아온 참인 듯 채 화장도 지우지 않은 얼굴이었다.
⑥ <의존명사> 무엇을 할 생각이나 의향
→ 내일 그분을 뵈면 지난번 일에 대해 정중히 사과드릴 참이다.
☞ 점심참 (點心-): 점심을 먹을 시간
저녁참: 일할 때에, 저녁을 전후해서 쉬는 동안 | 그동안에 먹는 음식
아침참: ① 아침밥을 먹고 잠시 쉬는 동안 | 그럴 무렵 ② 일할 때에 아침과 점심 사이에 먹는 곁두리
참 ≠ [참ː]
만조 때의 물 = 참물
░ 감 [감ː]: 간조 때의 물 = 감물
펜대 (pen-)
펜촉을 끼어서 쓰는 자루 ≒ 철필대 (鐵筆-)
☞ 펜대(를) 놀리다: 글을 작성하는 일에 종사하다 = 펜대(를) 굴리다
→ 펜대 놀려 먹고살아 가기는 당신이나 나나 피장파장이지.
재리
얼음이나 눈 위에서 미끄러지지 아니하도록 신 바닥에 박는 뾰족한 징
징
신의 가죽 창이나 말굽, 쇠굽 따위에 박는, 대가리가 크고 넓으며 길이가 짧은 쇠못이나 플라스틱
어간재비
① 공간을 나눌 때 칸막이로 두는 물건
② {놀림조} 키가 크고 몸집이 큰 사람
아이고땜
몹시 원통하거나 슬플 때에 넋두리를 하는 일 = 애고땜
→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서 아이고땜을 놓고, 방바닥을 치며 혼자 통곡하였다.
░ 넋두리
① 불만을 길게 늘어놓으며 하소연하는 말 = 넋풀이
② 굿을 할 때에, 무당이나 가족의 한 사람이 죽은 사람의 넋을 대신하여 하는 말 = 넋타령
░ 넋풀이: ① 넋두리 ② 죽은 사람의 원한을 풀어 주는 굿 = 넋풀이굿
☞ 넋두리하다
아람
밤이나 상수리 따위가 충분히 익어 저절로 떨어질 정도가 된 상태 | 그런 열매
☞ 아람(이) 불다: 아람이 나무에서 떨어지거나 떨어질 상태에 있다.
어문일치 독트린 MONZAQ
'어문일치 독트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말 겨루기] 459회 5단계 십자말풀이 _문제, 정답, 어휘 (0) | 2013.09.12 |
---|---|
[우리말 겨루기] 459회 1-4단계 _문제, 정답, 어휘 (0) | 2013.09.12 |
[우리말 겨루기] 458회 1-4단계 _문제, 정답, 어휘 (0) | 2013.09.12 |
[우리말 겨루기] 457회 5단계 십자말풀이 _문제, 정답, 어휘 (0) | 2013.09.12 |
[우리말 겨루기] 457회 1-4단계 _문제, 정답, 어휘 (0) | 2013.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