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단계 십자말풀이
01 □□
① 수효를 세는 맨 처음 수
② 뜻, 마음, 생각 따위가 한결같거나 일치한 상태
→ 우리 모두 마음을 □□로 모아 뭉칩시다.
02 □□□
도로나 철도 따위에서 교차 지점에 입체적으로 만들어서 신호 없이 다닐 수 있도록 한 시설
'입체교차로', '인터체인지'를 순화한 말
03 □□□
[비유] 의견이나 주장
→ 주민들 사이에서 비판의 □□□가 높아지고 있다.
04 □□□
① 작은 조각
② 명사 뒤에 쓰여, 그것이 아주 하찮음을 이르는 말
→ 종이 □□□, 헝겊 □□□
05 □□□
물건 가에 둘린 언저리
→ 선물 상자의 □□□에는 예쁜 꽃무늬가 둘려 있었다.
06 □□□□
출생한 후 한 번도 깎지 않은 갓난아이의 머리털
07 □□□
한데 어울리지 아니하고 조금 동떨어져 행동하는 사람
08 □□□
① 길을 걸을 때 걸려 방해가 되는 돌
② [비유] 일을 해 나가는 데에 걸리거나 막히는 장애물
09 □ □ □□ □ □□□□
[속담] 무슨 일이나 그 일의 시작이 중요하다는 말
≒ 첫 단추를 잘 끼워야 한다
10 □□□
일을 이루는 데 큰 도움이 될 만한 돈이나 물건 따위를 이르는 말
11 □□□
서로 마음이 통하여 같이 모인 동아리
12 □□
<명사> ① 있는 전부 ② 쪼개거나 나누지 아니한 덩어리. 또는 온전한 것
<부사> 전부 다
13 □□□
<부사> ① 성이 나서 펄펄 뛰는 모양 ② 여러 길이 될 만큼의 높이로
→ 화가 난 친구는 □□□ 날뛰며 소리 질렀다.
14 □□□
이쪽저쪽의 가까운 이웃
15 □□
집과 집 사이에 남은 길고 좁은 빈터
→ 아빠와 나는 □□를 꽃밭으로 꾸몄다.
나들목
도로나 철도 따위에서, 사고가 일어나거나 교통이 지체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교차 지점에 입체적으로 만들어서 신호 없이 다닐 수 있도록 한 시설
→ 나들목 부근에 정체가 있다.
≒ 인터체인지 (interchange), 아이시 (IC), 입체교차로 (立體交叉路)
목소리
① 목구멍에서 나는 소리
② {비유} 의견이나 주장
→ 기자는 시민의 생생한 목소리를 전달하기 위해 거리로 나갔다.
③ 목구멍, 즉 인두의 벽과 혀뿌리를 마찰하여 내는 소리 = 목구멍소리, 목청소리, 성대음 (聲帶音)
☞ 목소리를 곤두세우다: 신경질이 나서 목소리를 크게 하여 소리치다
쪼가리
① 작은 조각
→ 무 쪼가리, 종이 쪼가리, 헝겊 쪼가리
② {표현} 그것이 아주 하찮음
→ 알기는 뭘 알아. 저나 나나 유행가 쪼가리 몇 개 아는 것밖엔.
가두리
물건 가에 둘린 언저리
→ 선물 상자의 가두리에는 예쁜 꽃무늬가 둘려 있었다.
배내 [배ː내]
날 때부터나 배 안에 있을 때부터 가지고 있음 | 그런 것
☞ 배내털: 배 속에서 아이가 자라날 때 돋은 털
☞ 배냇머리: 출생한 후 한 번도 깎지 않은 갓난아이의 머리털
배냇니: 유아기에 사용한 뒤 갈게 되어 있는 이 = 젖니 ⇔ 간니
배냇물: 갓난아이의 몸에 묻어 있는 태내의 분비물
배냇냄새: 갓난아이의 몸에서 젖내 비슷하게 나는 독특한 냄새
배냇저고리: 깃과 섶을 달지 않은, 갓난아이의 옷 = 깃저고리, 배내옷
배냇적: 어머니의 배 속에 들어 있을 때
배냇짓: 갓난아이가 자면서 웃거나 눈, 코, 입 따위를 쫑긋거리는 짓 ☞ 배냇짓하다
배냇버릇: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버릇 | 고치기 힘들게 굳어진 나쁜 버릇
→ 생기면 더 가지고 싶어 하는 것이 인간의 배냇버릇 아닌가?
→ 남을 모함해 대는 것이 그 사람의 배냇버릇인가 보다.
배냇불행 (--不幸): 타고난 불행
배돌이
한데 어울리지 아니하고 조금 동떨어져 행동하는 사람
░ 베돌이: 일을 하는데 한데 어울려 하지 않고 따로 행동하는 사람
걸림돌
① 길을 걸을 때 걸려 방해가 되는 돌
→ 걸림돌을 치우다.
② {비유} 일을 해 나가는 데에 걸리거나 막히는 장애물
→ 봉건적인 사고방식은 근대화에 커다란 걸림돌이 된다.
░ 거침돌: {비유} 거추장스럽게 걸리거나 막히는 것
→ 법규가 경제 발전의 거침돌이 되어서는 안 된다.
한밑천
한몫할 만한 밑천 | 일을 이루는 데 큰 도움이 될 만한 돈이나 물건 따위
한몫하다
한 사람으로서 맡은 역할을 충분히 하다
한몫
① 한 사람 앞에 돌아가는 배분
→ 한몫씩 챙기다„ 한몫 떼어 주다
② 한 사람이 맡은 역할
→ 한몫을 하다„ 한몫 거들다
→ 아들이 있었다면, 지금쯤은 장정의 일 한몫을 해내고도 남았을 것이다.
☞ 한몫 끼다: 마땅한 자격을 가지고 함께 참가하다
→ 성인이되면 마을 대소사 결정에 한몫 낄 수 있다.
한몫 들다: 어떠한 일을 한몫 맡아 가지다
→ 그래, 무슨 좋은 구상이라도 건졌나요? 웬만하면 나도 한몫 듭시다 그려.
한몫 보다: 단단히 이득을 취하다 = 한몫 잡다
→ 한몫 보려고 노름판에 뛰어들었다가 빚만 산더미같이 졌다.
░ 한자리
① 같은 자리
→ 한자리에 모이다„ 한자리에 앉다„ 한자리에 부르다„ 한자리에 머물다„ 한자리에서 맴돌다
② 중요한 직위나 어느 한 직위
→ 한자리 맡기다„ 한자리 시키다„ 한자리 하다„ 한자리 차지하다„ 한자리 지내다
한통속
서로 마음이 통하여 같이 모인 동아리 = 한통
→ 알고보니 너도 그놈들과 한통속이었구나.
→ 시어머니는 큰며느리와 한통이 되어 숙근이의 친정을 흉본다.
온통
<명사>
① <명사> 있는 전부
→ 얼굴 온통이 붕대 뭉치가 되어 침대에 누워 있다.
② <명사> 쪼개거나 나누지 아니한 덩어리 | 온전한 것
→ 그가 가져 온 수박 온통을 다 같이 나누어 먹었다.
→ 이 과일 바구니에는 흠집 하나 없는 온통들만 담겨 있다.
③ <부사> 전부 다
→ 한참 만에 고개를 든 그의 얼굴은 온통 눈물로 범벅이 되어 있었다.
☞ 온통으로 생긴 놈 계집 자랑 반편으로 생긴 놈 자식 자랑
아내 자랑하는 사람은 큰 천치, 자식 자랑하는 사람은 반 천치임 | ① {비유} 지나치게 사랑하여 눈이 어두워지는 경우 | ② {놀림조} 아내나 자식을 자랑하는 사람
≒ 자식 추기 반미친놈 계집 추기 온미친놈
반편 (半偏)
① 한 개를 절반으로 나눈 한편
→ 한편 귀와 반편 몸이 옆사람에 의해 가려졌다.
② {낮잡아} 지능이 보통 사람보다 모자라는 사람 = 반편이 (半偏-)
→ 자나 깨나 비참하게 살고 있는 조카 종갑이와 반편 형님 생각뿐이다.
추다
① 업거나 지거나 한 것을 치밀어서 올리다
② 어깨를 위로 올리다
③ 쇠약해진 몸을 똑바로 가누다
④ 다른 사람의 기분을 맞추느라 훌륭하거나 뛰어나다고 말하다
→ 옆에서 추니까 갈수록 기고만장해진다.
⑤ 물건을 찾으려고 뒤지다
⑥ 일정한 목표를 향하여 이동하다
☞ 추어, 추니, 춘
반- (半-)
{표현} 절반 정도 | 거의 비슷한
→ 반팔, 반바지, 반달, 반세기, 반만년, 반나절, 반지름, 반평생, 반음, 반병
→ 반나체, 반노예, 반자동
░ 반죽음 (半--): 거의 죽게 됨 | 그런 상태 = 초벌죽음
☞ 반죽음되다, 반죽음하다
온-
{표현} 꽉찬, 완전한, 전부의
→ 온몸, 온몸운동, 온종일, 온음, 온밤
░ 온달: 꽉 찬 한 달
온달 ≠: 조금도 이지러진 데 없는 둥근달
길길이
① 성이 나서 펄펄 뛰는 모양
→ 길길이 뛰다„ 길길이 날뛰다„ 길길이 성내다„ 길길이 소리치다
② 여러 길이 될 만큼의 높이로
→ 볏짚이 길길이 쌓여 있다„ 불길이 길길이 치솟았다„ 갈대가 길길이 자랐다
길
① 여덟 자 또는 열 자(2.4미터 또는 3미터)가 되는 길이의 단위
② 사람의 키 정도의 길이 단위
→ 트럭에 실린 통나무는 굵기는 한 아름이 넘고 길이는 열 길이 넘는다.
삼이웃 (三--)
이쪽저쪽의 가까운 이웃
→ 삼이웃 집을 돌아다니며 간신히 돈 오천 원을 만들었다.
→ 이 씨는 삼이웃이 다 들리게 큰소리를 냈다.
실터
집과 집 사이에 남은 길고 좁은 빈터
→ 실터에 호박을 심다„ 실터를 꽃밭으로 활용하다
빈터
집이나 밭 따위가 없는 비어 있는 땅 ≒ 공터 (空-)
어문일치 독트린 MONZAQ
'어문일치 독트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말 겨루기] 458회 5단계 십자말풀이 _문제, 정답, 어휘 (0) | 2013.09.12 |
---|---|
[우리말 겨루기] 458회 1-4단계 _문제, 정답, 어휘 (0) | 2013.09.12 |
[우리말 겨루기] 457회 1-4단계 _문제, 정답, 어휘 (0) | 2013.09.12 |
[우리말 겨루기] 456회 5단계 십자말풀이 _문제, 정답, 어휘 (0) | 2013.09.11 |
[우리말 겨루기] 456회 1-4단계 _문제, 정답, 어휘 (1) | 2013.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