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연장으로 베거나 깎은 물건의 부스러기
가윗밥
가위질을 해서 생기는 부스러기
도맛밥
도마질할 때 도마에서 생기는 부스러기
도낏밥
도끼질을 할 때 생기는 나무 부스러기
줄밥 [줄ː빱]
줄질을 할 때, 쓸리어 떨어지는 부스러기
까뀟밥
까뀌질할 때에 생기는 나뭇조각
자귓밥
자귀질할 때 깎여 나오는 부스러기 나뭇조각
끌밥 [끌빱]
끌로 나무를 팔 때 생기는 부스러기
톱밥
톱으로 켜거나 자를 때에 나무 따위에서 쓸려 나오는 가루
대팻밥
대패질할 때 깎여 나오는 얇은 나무오리
나무오리
가늘고 긴 나뭇조각
/ 사용하는 도구 + 밥
쇳밥
쇠붙이를 깎아 낼 때에 떨어지는 부스러기
연필밥 (鉛筆-) [연필빱]
연필을 깎을 때 나오는 나무 부스러기
나뭇밥
목재 가공 과정에서 나오는 톱밥이나 대팻밥
실밥
① 옷을 뜯을 때 뽑아내는 실의 부스러기
→ 실밥이 묻다„ 실밥이 풀어지다„ 실밥을 물어뜯다„ 실밥을 떨어 내다
② 꿰맨 실이 밖으로 드러난 부분
→ 수술 부위의 실밥을 뽑다.
→ 장갑의 실밥이 타져서 손가락 하나가 비죽이 나와 있다.
실보무라지 [실ː뽀무라지]
실의 잔부스러기
보무라지
종이, 헝겊, 실 따위의 자잘한 부스러기 = 보물
→ 방바닥에 헝겊 보무라지가 널려 있다.
≠ 보푸라기: 보풀의 낱개
/ 베거나 깎는 대상 + 밥
끌탕
속을 태우는 걱정
→ 누가 어떤 불만으로 끌탕 중인지 물어보지 않고라도 알 만했다.
☞ 끌탕하다
코(가) 빠지다
근심에 싸여 기가 죽고 맥이 빠지다
→ 마을 사람들 모두 코가 빠져 아무 일도 하지 못했다.
코에서 단내가 난다
몹시 고되게 일하여 힘이 들고 몸이 피로하다
코(가) 세다
남의 말을 잘 듣지 않고 고집이 세다
코가 솟다
뽐낼 일이 있어 우쭐해지다
코가 우뚝하다
잘난 체하며 거만하게 굴다
코를 쳐들다
잘난 체하며 우쭐대다
코에 걸다
무엇을 자랑삼아 내세우다
→ 나도 한때는 독립 운동가를 아버지로 모신 걸 대단히 자랑스럽게 코에 걸고 다녔다.
자랑삼다
남에게 드러내어 뽐낼 만한 거리로 하다
→ 그는 자신이 참전했던 전쟁 이야기를 자랑삼아 우리에게 들려주었다.
코 큰 소리
잘난 체하는 소리
코 값을 하다
대장부답게 의젓하게 굴다
코를 떼다
무안을 당하거나 핀잔을 맞다
코(를) 빠뜨리다
못 쓰게 만들거나 일을 망치다
코를 싸쥐다
무안이나 핀잔으로 얼굴을 들 수 없게 되다
싸쥐다
손으로 싸듯이 하며 쥐다
→ 두 손으로 얼굴을 싸쥐었다.
☞ 덮싸쥐다: 덮듯이 하며 싸쥐다
얼싸쥐다
두 팔을 벌리어 감싸 쥐다
→ 머리를 얼싸쥐고 흐느끼며„ 두 무릎을 얼싸쥐고 앉아서
코 아래 진상
뇌물이나 먹을 것을 바치는 일
→ 아마 이번 설에도 닭 마리나 코 아래 진상을 해야 할까 보다.
마리
① 짐승이나 물고기, 벌레 따위를 세는 단위
② 약간의 그 동물들
→ 소 마리나 기르느냐?
→ 고기 마리나 잡았나?
→ 오랜만에 고깃배가 들어왔군. 또 갈매기 마리나 날아들겠군.
진상 (進上)
① 진귀한 물품이나 지방의 토산물 따위를 임금이나 고관 따위에게 바침
② 겉보기에 허름하고 질이 나쁜 물건을 속되게 이르는 말
철 그른 동남풍
① 필요한 때에는 없다가 이미 아무 소용도 없게 된 다음에 생겨나는 경우를 이르는 말
② 얼토당토않은 흰소리를 할 경우에 이르는 말
너테
물이나 눈이 얼어붙은 위에 다시 물이 흘러서 여러 겹으로 얼어붙은 얼음
→ 허연 너테 언저리에는 겨울을 날 철새인 물오리 떼가 수백 마리 내려앉아 날개를 털며 연방 물속에다 주둥이질을 하고 있었다.
더께
① 몹시 찌든 물건에 앉은 거친 때
→ 한겨울을 나고 나면 소맷부리에 고약이 엉겨 붙은 것처럼 새카만 더께가 앉았다.
② 겹으로 쌓이거나 붙은 것 | 겹이 되게 덧붙은 것
→ 삼동에 더께가 진 빙판
→ 굴 껍데기로 하얗게 더께가 앉은 바위
→ 유리창에 더께로 쌓여 엉겨 붙은 눈발
→ 최초 한 녀석 위에 더께로 걸려 넘어진 아이들
켜
① 포개어진 물건의 하나하나의 층
→ 시루떡의 켜„ 세월의 켜
② 포개어진 물건 하나하나의 층을 세는 단위
→ 창고에는 옷감들이 여러 켜로 쌓여 있었다.
③ 노름하는 횟수를 세는 단위
→ 화투 한 켜
→ 내기 바둑을 두어 켜 두고 나니 머리가 아프다.
켜켜이
여러 켜마다
→ 어머니는 켜켜이 팥고물을 넣으면서 시루에 떡을 안치고 계셨다.
격지격지
① 여러 켜로
→ 격지격지 덧붙이다.
② 각 켜마다
안치다
밥, 떡, 구이, 찌개 따위를 만들기 위하여 그 재료를 솥이나 냄비 따위에 넣고 불 위에 올리다
→ 시루에 떡을 안치다„ 솥에 고구마를 안치다„ 냄비에 쌀을 안치다
☞ 안치어, 안쳐, 안치니
안치다 ≠
① 어려운 일이 앞에 밀리다
→ 당장 눈앞에 안친 일이 많아 어찌할 바를 모르겠다.
② 앞으로 와 닥치다
→ 언덕에 오르니 전경이 눈에 안쳐 왔다.
사돈네 안방 같다
시돈네 안방처럼 감히 넘겨다보지 못할 만큼 어렵고 조심스러운 곳이다
넘겨다보다
① 고개를 들어 가리어진 물건 위로 건너 쪽을 보다 ≒ 넘겨보다, 넘어다보다
→ 담장을 넘겨다보다„ 책상 위를 넘겨다보다„ 방 안을 넘겨다보다
② 어떤 것을 욕심내어 마음에 두다 ≒ 넘겨보다, 넘보다
→ 남의 돈을 넘겨다보지 마라„ 남의 자리를 넘겨다보지 마라„ 우승을 넘겨다보지 마라
③ 넘겨짚어서 알아보다 ≒ 넘겨보다
→ 남의 마음을 넘겨다보다„ 상대의 약점을 넘겨다보다
④ 어떤 일 따위에 관심을 갖고 슬쩍슬쩍 쳐다보다 ≒ 넘겨보다
→ 아이들은 선생님이 채점하는 것을 자꾸 넘겨다보았다.
→ 박 씨가 이 씨 패를 뒷전으로 넘겨다보려다 이 씨에게 들켰다.
넘어보다(Ⅹ)
사돈 밤 바래기
사돈은 어려운 손님이므로 밤이 늦었다 하여 바래다주면 이번에는 저편에서 또 바래다주고 하다가 날이 밝는다 | 자꾸 반복하여 끝이 없다
바래다주다
가는 사람을 일정한 곳까지 배웅해 주다
바래다
가는 사람을 일정한 곳까지 배웅하거나 바라보다
→ 그녀는 친정엄머니를 역까지 바래다 드렸다.
→ 감사역을 비롯한 사람들이 따라 나와서 그들을 바래고 있다.
사돈 남 나무란다
자기도 같은 잘못을 했으면서 제 잘못은 제쳐 두고 남의 잘못만 나무란다
사돈 남 말 한다 (Ⅹ)
사돈의 팔촌
남이나 다름없는 먼 친척
사돈에 팔촌 (Ⅹ)
사돈(의) 잔치에 중이 참여한다
연회나 기타의 장소에 전연 관계없는 사람이 끼어든다
= 봉치에 포도군사: 신랑 집에서 신부 집에 구혼하는 경사스러운 일에 포도군사가 나타남은 당치 아니하다
봉치
혼인 전에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보내는 채단과 예장 | 채단과 예장을 보내는 일
사그라지다
삭아서 없어지다
→ 불길이 사그라지다„ 연기가 사그라지다„ 햇빛이 사그라지다„ 울분이 사그라지다„ 흥분이 사그라지다
☞ 사그라지어, 사그라져, 사그라지니
사그라들다 (Ⅹ)
어문일치 독트린 MONZAQ
'어문일치 독트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말 겨루기] 449회 1-4단계 _문제, 정답, 어휘 (0) | 2013.09.11 |
---|---|
[우리말 겨루기] 448회 어휘 2-2 (0) | 2013.09.11 |
[우리말 겨루기] 447회 어휘 (0) | 2013.09.11 |
사이시옷이 보이는 흐름 - 한자어와 고유어의 차이 (0) | 2013.07.31 |
사이시옷을 흔히 품는 말 - 뒤, 바다, 위, 아래 <ㄱ-ㅎ> (0) | 2013.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