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 스트 Link

가정과 사회

 

현장에선 믿음직한 아버지 - 보호관찰관

 

비록 영화는 비극으로 막을 내리지만, 테리는 맡은 일에 최선을 다했다. 테리의 직업은 보호관찰관. 출소자들이 정상적으로 일상에 복귀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보호관찰' '감시'의 어감을 풍긴다. 하지만 테리의 언행에서는 전혀 '감시자'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 잭을 믿고 응원하는 '친구'에 가깝다. 영영사전을 들춰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보호관찰은 영어로 'probation'. 'probate'의 명사형이다. 사전은 이렇게 설명한다. 'Probate is the act or process of officially proving a will to be valid.'

 

'프로베이트' '유효함을 공식적으로 증명하는 과정 또는 행위'를 뜻한다. 한마디로 '공증'이다. '프로베이션' '보호관찰'과 함께 '직장에서 해당 업무가 적합한지 담당자의 적성과 능력을 알아보는 시간', '수습기간'을 뜻한다. 의미를 종합해 볼 때, 한 단어로 귀결된다. '검증'. 테리는 출소 직후의 잭을 '감시'하기보다 '복귀'시키는 데 주의를 기울인다. 실제로 감시자들은 따로 있다. 잭이 머무는 곳 근처에 차를 세우고, 그 안에서 말없이 그의 행보를 살핀다. 테리는 잭이 마음의 안정을 되찾고 평범한 일상을 누릴 수 있을 때까지 그의 곁에서 이야기를 들어 주는, 감시자들보다 더 중요한 임무를 맡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기쁘거나 고민되는 일이 있을 때, 아이들이 먼저 관리자를 찾는 모습은 듣도 보도 못했다. 영화나 뉴스에 등장하는 '우리나라 보호관찰 대상 청소년들'은 관리자의 눈을 피하기에 급급하다. 형식적인 관리 체계는 한심하기 짝이 없다. 잭의 마음가짐을 바로잡아 주려는 테리의 격려와는, 달라도 너무 다르다. 귀가 여부만 체크해서 어떻게 아이들을 선도하겠다는 건지 이해할 수 없다. 우리 아이들에게도 '테리'가 절실하다.

 

집안에선 위태로운 아버지

 

테리는 잭의 좋은 친구다. 이제 막 출소해 모든 것이 생소하고 어리둥절한 잭. 테리는 식당에서 메뉴를 고르는 것조차 낯설어하는 잭을 나무라거나 재촉하지 않는다. 말 한마디에도 신중을 기한다. 잭이 자괴감을 이겨낼 수 있도록 세심하게 배려한다. 테리는 직업의 특성상 거처를 수시로 옮겨야 한다. 새 인생을 시작하는 출소자와 함께 제삼의 지역에 머물러야 하기 때문이다.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한 보호관찰관인 반면에, 집에선 형편없는 가장이다. 급기야 아내와 아들은 그를 떠났다.

 

<보이A>에는 부모의 자질과 고민이 담겨 있다. 불우한 가정 환경으로 살인자가 돼 버린 잭을 돌보느라 정작 자신의 가정은 지키지 못한 테리. 영화는 이 시대 어른들에게 둘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라고 충고한다. 잭의 범죄 사실을 언론에 흘린 건 다름 아닌 테리의 아들 젭이었다. 술에 취한 테리가 '사랑하는 아들'로 잭의 이름을 부르는 순간, 아버지의 손길이 그리워 찾아온 젭은 또다시 상처를 입는다. 자기가 잭보다 뒷전이라는 데 화가 치민다. 아버지는 자기가 아닌 잭을 본인이 이룩한 위대한 업적이라 여기고 있다.  

 

목적과 수단

 

테리의 실수는 모든 걸 망가뜨렸다. 진심으로 잭의 행복을 바랐지만, 결국 자신의 손으로 잭을 불행하게 만든 꼴이 돼 버렸다. 테리는 성공을 눈앞에 두고 돌보지 못한 아들, '아버지로서의 실패'로 일을 그르쳤다. 함께 지내는 아들은 계속해서 아버지의 사랑을 갈구했지만, 아버지는 안타깝게도 아들의 마음을 헤아리지 못했다. 온 신경을 '직업상의 아들', 잭에게만 쏟았다.

 

젭은 아버지를 잃은 게 전부 잭 때문인 것만 같다. 잭이 불행해지는 걸 보고 싶다. '홈리스(노숙자)' 신세라며 아버지를 찾은 젭. ''은 그저 핑계에 불과했다. 잭의 행방에 현상금까지 걸려 있는 마당에 돈을 챙겨 달아날 수도 있었지만, 그건 젭이 원하는 바가 아니다. 빈자리를 채워 줄 아버지면 족했다. 젭의 '제보'는 빼앗겼다고 생각한 아버지를 되돌려 달라는 아들의 처절한 절규였던 거다.  

 

일하는 제일의 목적은 가족에게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가족을 위해 더 열심히 일하면 일할수록, 정작 가족과는 점점 더 멀어진다. 목적과 수단을 혼동하게 만드는 사회. 자본주의 사회는 성과 위주다. 자식들을 위해 피 터지게 싸우고, 경쟁에서 살아남으라고 다그친다. 하지만 명심하자. 그들은 당신의 '깨진 가정'을 볼모로 삼을지언정, '화목한 가정'을 위해 배려할 마음은 추호도 없다는 것을. 고달픈 이 시대 부모들의 한숨이 깊다.

 

0123

 

시나리오 메시지 MONZAQ

 

Posted by 몽자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