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메니즘의 도전 - 정희진


여성주의

 

141쪽
장애인운동은 우리 사회에서 정상이라고 간주되는 몸의 기준에 대한 도전이다. 마찬가지로 여성운동은 사회 안에서 여성의 지위를 논하자는 것이 아니다. 

151쪽
여성주의는 기존의 객관성이 틀렸다는 것이 아니라 남성의 객관성을 부분화, 맥락화하자는 것이다. 

31쪽
대화의 시작에서 동일성을 가정하고 일반화하는 보편주의나("우리는 같다.") 대화의 끝에서 지나치게 특수성을 강조하여 배제로 끝나는 상대주의("우리는 다르다.")가 아니라, 보편화하지 않는 특수를 지향한다. 차이를 보편으로 환원하는 것이 아니라, 차이로부터 기존의 보편을 끊임없이 해체하고 재구성한다. 

​52쪽
다른 목소리를 들을 수 없는 사회는, 갈등 없는 사회가 아니라 가능성이 없는 사회다.

​53쪽
차이가 차별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권력이 차이를 구성한다.

122쪽
여성이나 흑인, 장애인 모두 누군가 '찬성'하지 않아도 세상 안에서 살아가는 것처럼, 동성애자 역시 누군가의 '동의'와 '허락'이 있어야만 존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 동성애가 문제가 아니라, 동성애냐 이성애냐를 구분하는 경계선은 누가 정하는가가 진짜 문제(질문)거리다.

213
여성주의 사유 방법의 출발은 “그들이 말하게 하라." 였다. ...... 남성이 생산한 여성에 대한 지식은 남성 자신에 대해 말하고 있는 것이지, 여성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말하고 있지 않다. 

239
'통일'은 둘이 하나가 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가 여럿이 되는 것이다.
- 조한혜정

180
그러나 공정함의 시각에서 평등은 기회의 평등에만 머물지 않고, 조건의 평등, 더 나아가 결과의 평등을 지향한다. 

274
폭력은 이유가 없다. 권력 행동에 무슨 이유가 있겠는가. 폭력에 이유가 있다면, 그것을 가능케 하는 조건이 있을 뿐이다. 사회운동은 그 이유를 묻는 것이 아니라 조건을 파악해 그것을 제거하고 제약하는 것이다. 


이치

19쪽
감사는 예절이나 긍정적 태도, 마인드 컨트롤이 아니라 세상에 대한 접근 방식이다. 비판 의식은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 대한 애정과 감사, 겸손한 마음에서 출발해야만 가능한 것이다.

33쪽
상처와 고통은 그 쾌락과 배움에 대해 지불하는 당연한 대가다.

34쪽
상처 받은 마음이 사유의 기본 조건이다.

34쪽
근대의 발명품인 이성이 정적이고 따라서 위계적인 것이라면, 감정은 움직이는 것이고 세상과 대화하는 것이다.

44쪽
세상에 하나의 목소리만 있을 때는 다른 목소리는 물론이고, 그 한 가지 목소리마저도 알기 어렵다. 의미는 차이가 있을 때 발생하며, 인식은 경계를 만날 때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45쪽
인간은 누구나 자신이 경험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지배 이데올로기나 대중매체에서 떠는 것 이상을 알기 어렵다. 알려는 노력, 세상에 대한 애정과 고뇌를 유보하는 그 순간부터 우리는 타인에게 상처를 준다. 한나 아렌트Hanna Arendt가 말했듯이, 사유하지 않음, 이것이 바로 폭력이다.

159
원래 권리로서 표현의 자유 개념은 근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강력한 국민국가가 탄생한 뒤, 거대한 국가 권력에 비해 취약한 개인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것이었다. ...... 즉, 표현의 자유는 아무 때나 누구나 주장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지배 규범에 대한 사회적 약자의 저항일 때만 권리로 존중될 수 있다.

165
더욱 중요한 시사점은 평화시 남성 중심적인 놀이 문화가 바로 전쟁시에 집단 강간이나 대량 학살(genocide)과 같은 폭력으로 연결된다는 점이다. 집단 강간, 고문 등 전시 폭력은 '광기' 때문에 급작스럽게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일상 문화의 연장선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남성들의 폭력적인 일상 문화를 성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214
대화로부터 무엇이 드러나는지는 대화에 들어가기 전에는 아무도 알 수 없다. 따라서 대화는 단순한 수용이 아니라 의미의 재창조이다.


현실

59쪽
'남자는 씨, 여자는 밭'이라는 일상적 언설은 ...... 이러한 담론을 통해 가부장제 사회가 진정 강조하고 싶은 것은 ...... 씨의 기원성, 유동과 변화, 발정선에 비해 밭 혹은 땅, '어머니 대지'의 본질은 정박성과 불변성이다. 움직이지 않는, 움직일 수 없는 여성은 언제 어디서나 어머니로 환원되고 동질화된다. ...... 식민 시대 미국 지명이 여성 명사화된 것도 이 때문이다. 

61쪽
남성은 사람이기 때문에 모든 남성 명사에는 인(人)이 붙지만, 여성 명사에는 녀(女)가 붙는다. 우리말 여성형 지칭에서 유일하게 인자가 붙는 경우는 미망인(未亡人, 남편을 따라 죽지 않은 여자)뿐이다. 

63쪽
모성은 어머니와 자녀의 관계를 설명하는 말이 아니다. 모성은 남성과 여성의 관계를 의미한다. 만약 모성이 본능이라면, 미혼모도 어머니이므로 차별받아선 안 된다. 미혼모에 대한 우리 사회의 부정적인 인식은 합법적 아버지가 있어야 어머니와 자녀도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함의한다. ...... '사생아(私生兒)'는 사적으로, 개인적 차원에서 태어난 아이다. 이미 탄생에서부터 공(公)/사(私) 영역의 분리와 차별이 있다.

119쪽
사생아의 영어 단어는 '러브 차일드(love child)'인데, 사회학자 조은의 지적대로, 뒤집어 말하면 가족 제도에서 출생하는 아이는 사랑의 산물이 아니라는 이야기일지도 모른다.

65쪽
가부장제는, 가족은, 국가는, 민족은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통제하고 활용, 매개, 동원함으로써만 유지된다. 우리 사회가 여성을 그토록 어머니로 호명하고 싶어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어머니로 간주되는 여성은 성적 주체가 될 수 없고, 자신의 몸을 가질 수 없다. 그녀의 몸은 남성만이 주체가 되는 가족과 국가의 소유다.

68쪽
대부분의 가정폭력은 가해 남편이, 아내가 어머니/며느리로서 성역할 규범을 어겼다고 판단했을 때 발생한다. 성역할 불이행이 '맞을 짓'이 된다는 사실은, 이 노동이 여성 자신을 위한 일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69쪽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는 근대적 인권 개념과, 인간의 범주에서 여성을 제외하려는 가부장제 사이의 모순은, 모성의 발명으로 극복되었다.

70쪽
이제까지 어머니의 지위는 여성이 겨의 유일하게 도달할 수 있는 존경받을 만한 사회적 권력이었다. 문제는 어머니의 권력과 여성의 권력은 정반대라는 것이다. 어머니의 지위가 높은 사회일수록 여성의 지위는 낮다. ...... 어머니의 권력은 결국 출세한 아들의 권력에서 나온다. ...... 그런 어머니가 남녀고용평등법을 찬성할 리 없다.

72쪽
아줌마에 대한 혐오와 어머니에 대한 신성화라는 이 아슬아슬한 게임에는 경계가 없다.
​​
80쪽
중립적인 말, 누구에게나 적용될 수 있는 보편적인 언어는 존재하지 않는다. ...... 여성주의가 중요한 것은 성차별이 가장 중요한 모순이어서가 아니라, 지배-피지배의 관례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동물의 세계에 먹고 먹히는 자가 있다면, 인간 세계는 말을 만드는 사람, 즉 정의하는 자와 정의당하는 자가 있다. 언어는 차별의 결과가 아니라 차별의 시작이다. 약 5천년 동안 남성은 재현 주체였고 여성은 재현 대상이었다.

95쪽
한국 여성의 고등교육 '수혜율'은 세계 최상위권인데, 취업률과 취업의 질은 100위권 밖이다. 고등교육을 받은 여성은 노동 시장이 아니라 결혼 시장으로 진출한다.
우리는 그 결과를 잘 알고 있다. 고학력 여성의 '자아 실현'은 사회가 아니라 가정에서 사교육과 남편 내조를 통해 이루어진다.

100쪽
세습에 대한 세간의 혐오는 북한에만 해당하는 듯하다. 재벌 세습이나 부녀 간 세습에는 관대하거나 심지어 부러워한다. ...... '대통령 박근혜'는 여성도 대통령이 될 수 있다는 근대 민주주의의 성과가 아니라 신분 사회의 부활이다.
​​
111쪽
왜 여성은 마치 성욕을 느낄 때처럼, 초콜릿 케이크를 보고 식욕을 느낄 때 죄의식을 느끼는 것일까.
...... 음식과 성을 노동으로 강요받는 사람은 여성이지만, 여성은 음식과 성을 즐길 수도 없고 욕망해서도 안 되는 것이다. ...... 여성의 식욕이 찬양되는 시기는 임신했을 때뿐이다.

114쪽
음식이 적이요, 자신의 몸은 늘 배신자가 되는 상황에서 다이어트는 자기 혐오를 내면화하는 과정이 된다.

126쪽
나는 20여 년간 여성에 대한 폭력 관련자들을 상담해 왔는데, 가해자들의 절실한 호소는 두 가지, 피해의식과 분노이다. "남들 다 하는데 나만 재수가 없어서 걸렸다."라는 피해의식과 자신을 이 지경으로 만든 사법 체계와 신고한 여성, 그리고 '여자들이 판치는 세상'에 대한 분노다. 이러한 사고방식과 심리 상태의 근거는 '성범죄 불가피론'이다. 남성에게 삽입 섹스는 소변과 같은 신체의 자연스러운 배설 행위이므로 성폭력이나 성 구매를 불법화하는 것은 '오줌을 못 싸게 하는' 고통과 같다는 것이다.

139
폭력으로 평화로운 가정이 깨져서 문제가 아니라, 여성의 생명을 위협하는 폭력으로도 (남성 중심적) 가정이 깨지지 않는 것이 더 문제다.

148
내게 상담을 청한 어떤 성폭력 피해 여성은, 칼을 들고 덤비는 성폭력 가해자를 설득하여 임신과 성병 예방을 위해 콘돔을 사용하게 했다. 나는 그녀의 행동을 칭찬했지만, 그녀에게 고소를 적극적으로 권할 수는 없었다. 가부장제 사회의 피해자 각본에서, 이 여성의 뛰어난 행위성과 협상력은 '섹스(강간) 동의'를 의미한다. 여성은 아무런 행위를 하지 않고 죽은 듯이 있어야만 피해가 인정되고, 피해자로서 권력을 부여받게 된다.

155
인간을 남성, 여성으로 구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 아니라 이성애 제도의 산물인 것이다.

156
모든 인간이 인권을 갖는다는 근대적 인권 개념의 보편주의는 진보적인 동시에 문제적인 사유 방식이다. ...... 가해 남성의 2차 성폭력 행위가 성폭력 가해자에게도 인권이 있다는, 보편적 인권 개념으로 옹호되고 있는 것이다. ...... 성폭력 사건의 진실'을 둘러싼 논쟁에서 가해 남성과 가부장제 사회가 실질적으로 주장하는 것은, 성폭력 가해자의 인권이라기보다는 남성 생물학의 자연스런 결과로 성폭력의 불가피성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161
현대 사회의 공(公)·사(私) 영역 분리 이데올로기는 여성 인권 침해 의 가장 핵심적인 논리적 기반이라고 할 수 있다. ...... 공·사 영역 분리 이데올로기는, 여성을 개인, 인간의 위치로 승격시키는 것과 가부장제 사이의 모순을 해결하는 데 유용한 전략이었다. 

177
성적 자기결정권은 성폭력이 사적인 문제가 아니라 성별 제도, 젠더라는 사회적 구조에서 발생하는 범죄라는 여성주의의 주장과 모순된다. ...... 성적 자기결정권 주장은 근대 자유주의의 남성 논리를 비판하기보다, 기존의 논리에 여성도 포함시켜줄 것을 요구한 것이었고, 이는 여성의 삶에 기반을 둔 언어가 아니기 때문에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었다.

274쪽 
사랑과 폭력은 원래 같은 의미지만, 특히 상대방의 상태와는 무관하다는 점에서 더욱 비슷하다. 사랑이나 폭력은 모두 자기확신 행위이지 상대방의 매력이나 잘못과는 무관하다. 

179
이제까지 양성 평등은 남성이 여성과 같아지는 것이 아니라 여성이 남성과 같아지는 것을 의미했다. 여성은 '공적 영역'으로 진출했지만, 남성은 그만큼 '사적 영역'으로 진출하지 않았다. ...... 남성들은 '양성 평등'을 위해 여성과 같아지려고 노력하지 않는다. 가사 노동, 자녀 양육 등 주로 여성이 해 왔던 재생산 노동은 경시되고 비하된다. ...... 같음의 기준이 남성의 경험에 근거한 것일 때, 여성은 남성과 같음을 주장해도 차별받고 다름을 주장해도 차별받는다. 이것이 소위 '차이와 평등의 딜레마'이다. 

273
전철 같은 공공장소에서 남성이 여성에게 (성)폭력을 가하려는 경우 대개 여성들은 "어머, 왜 이러세요?”라고 말한다. 항의나 비판이 아닌 '겸손한 태도'로 이유를 질문한다. 정말 궁금한 것이다. 이 질문에는 “나는 아무 잘못도 없는데/ 우리는 모르는 사이인데, 다른 여자들도 있는데 왜 하필 나한테………” 같은 말들이 내포되어 있다. 반면, (비슷한 연령대의 경우) 남성들은 “이 자식 왜 이래, 미쳤어?" 라는 식으로 대처한다.

279
돈만 있으면 폭력을 구매할 수 있고, 전쟁을 대행하는 회사를 좌우할 수 있다고 생각해보라. 살인 청부가, 조직 폭력 집단의 업무가, 더 나아가 전쟁이 일일 뿐이라면 힘없는 사람들은 이들의 '신성한 노동'으로 죽어 갈 것이다. 이는 노동이 아니라 인간을 대상으로 한 권력층의 소비 활동이다.


진보

135
사회적 소수자를 정치적 주체로 보고 이들의 고통을 정치적 의제로 설정하기보다는, 기존 진보를 풍부화'하기 위해 동원한다는 인상을 지우기 어렵다. ...... 진보 개념을 변화시키기보다는 확대하는 방향으로 소수자 문제가 '활용'된다.

137
나는 '운동권' 남성이 '일반' 남성보다 성폭력을 많이 저지른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더 깊은 은폐 논리와 조직 보위를 강조하는 측면에서는 운동사회에서 성폭력이 빈발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생각한다.

136
결국 사람들은 또 무엇이 더 결정적이냐고 결론 내고 싶어한다.


나이

184
한국 사회에서 노인은 기본적으로 계급적 개념이자 범주이다. ...... 지식인이나 정치인, 재벌 등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들은 아무리 나이가 들어도 노인이라고 불리지 않으며 그들도 스스로를 노인으로 정체화하지 않는다. 우리는 서민에게만 노인이란 칭호를 붙이다. 

184쪽
한국 사회에서 노인은 정치적으로 의미 있는 정체성이 아니다. 세대 모순과 갈등은 심각하지만 세대의 이해와 요구에 근거한 사회운동은 존재하지 않는다.

187
여성에 대한 억압을 개선하기 두려워하는 사회는 성별 제도를 생물학적 문제로 환원하고 이를 정치화하려는 페미니스트에게 적대감을 숨기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연령주의의 문제화를 회피하는 사회는 나이 듦이 어쩔 수 없는 자연의 질서라는 식의 담론을 끊임없이 생산한다.
인간의 나이는 임의적인 인식과 제도의 산물이다. 그리고 그것은 억압적인 제도이기 때문에 정치·경제학적, 사회·심리적인 물적 토대를 가진다. 시대마다 나이의 의미도 다르고, 평균 수명이 다르다. 중세시대에는 절대적인 보살핌과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아동기가 존재하지 않았다.

193
할머니는 모성만을 간직한 존재라는 판타지는 너무나 강력하다. 여성 노인 남성 노인이라는 지칭 대신 할머니 할아버지라는 가족 내 성역할 호칭으로 이들의 존재성을 드러내는 것은, 가족이 지닌 비정치적 이미지를 이용해 이들의 문제를 탈정치화하려는 것이다.




89쪽
여성에게 (기존) 언어가 없다는 사실은, 이처럼 인식론적 특권을 의미하기도 한다.

16쪽
우리는 현실에서 도피하거나 현실에 '반대(도대체 반대한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가?)하지 않고', 현실을 인정하고 사랑하면서도 동시에 다른(alternative) 현실을 살 수 있다. 혁명은 사회를 바꾸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재정의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288
나의 실천 대상 범위는 기껏해야 나 자신이다. 

 

[네이버 책] 페미니즘의 도전

 

페미니즘의 도전

여성주의 패러다임의 전환을 이끌어낸 획기적인 저작‘남성 언어’로 길들여진 세상에 던지는 도발적 문제 제기‘페미니즘 교과서’로 평가받으며, 페미니즘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이끌어낸

book.naver.com

 

Posted by 몽자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