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 이건 사이시옷인이 아니므로 규칙과 무관하다

 

에 원래부터 ㅅ 받침이 있는 말이 있다. 이를 사이시옷으로 혼동하지 말자.

거짓~

            ] 멋쟁이, 송곳니, 깃무늬, 엿밥, 잣눈, 싸움짓거리

            거짓꼴: [거짇꼴] 거짓 + = 거짓으로 꾸민 모양

          거지: [거지] 거지 + = 거지와 같은 초라한 모양

            이 원래부터 센 놈이기 때문에, 거지는 거지 그대로 쓴다. 사이시옷 없이.

           

~짓거리          

            은 엄연히 한 단어다. 짓거리에는 사이시옷이 쓰이지 않았다.

            짓거리: + 거리 = 1. 흥에 겨워 멋으로 하는 짓  2. 짓을 낮잡아 이르는 말

            ] 쌈짓거리, 싸움짓거리, 딴짓거리, 말짓거리

                           다음의 예와 구분해 두자.

                           농지거리: 점잖지 아니하게 함부로 하는 장난이나 농담을 낮잡아 이르는 말

                           욕지거리: 욕설을 속되게 이르는 말

                           두 단어의 표준 발음은 [거리], [거리].

                           []로 발음하는 ~짓거리 의 예와 센소리의 위치가 다르다.

 

센소리의 반복을 피하려는 경향은 사이시옷에서도 발견된다.

~: 연장의 가장 얇고 날카로운 부분

            은 보통 사이시옷 규칙에 따라 다른 단어와 합성어를 만든다.

            ] 가윗날, 송곳날, 괭잇날, 대팻날

                           그러나 자체에 이미 발음상 센소리가 포함된 경우에는 ㅅ 없이 합성된다.

                           ] 작두날, 도끼날

 

접두사로서 이미 ㅅ 받침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사이시옷이 아니므로 열외다.

- : 더럽혀지지 않아 깨끗한

            ] 숫처녀, 숫총각, 숫색시, 숫보기, 숫백성, 숫눈길, 숫구멍, 숫사람

            숫사람: 거짓이 없고 순진하여 어수룩한 사람

            숫보기: 1. 순진하고 어수룩한 사람  2. 숫총각이나 숫처녀

            숫백성: 거짓을 모르는 순박한 백성

            숫눈길: 눈이 와서 쌓인 뒤에 아직 아무도 지나가지 않은 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숫구멍: 갓난아이의 정수리가 굳지 않아서 숨 쉴 때마다 발딱발딱 뛰는 곳

 

- : 새끼를 배지 않는

            ] 숫염소, 숫양, 숫쥐, 숫토끼

            숫토끼의 경우 ㅌ 으로 가 센소리지만, 접두사 숫- 에서 ㅅ 을 뺄 순 없다.

                           - : 새끼를 배지 않거나 열매를 맺지 않는

                           ] 수고양이, 수말, 수소, 수꿩

                           ] 수컷, 수캐, 수탉, 수탕나귀, 수퇘지, 수평아리

 

- : 1. 거듭된, 겹쳐 신거나 입는  2. 거듭, 겹쳐

            ] 덧글, 덧신, 덧잠, 덧옷, 덧글, 덧니빨, 덧무늬, 덧거리, 덧가지

            접두사 자체에 ㅅ 받침이 있기 때문에, 덧칠처럼 뒤에 센소리가 와도 ㅅ은 살아 있다.

            ] 덧칠, 덧판, 덧창, 덧토시, 덧쓰다, 덧쌓다, 덧꽂다, 덧싸다, 덧끼다

 

- : 위의 (아래위의 대립이 없는 명사 앞에 붙인다. 웃 대신 아랫 을 쓸 수 없다는 말이다.)

            ] 웃거름, 웃돈, 웃어른, 웃국, 웃물, 웃통

            웃국: 1. 간장이나 술 따위를 담가서 익힌 뒤에 맨 처음에 떠낸 진한 국  2. 국의 웃물

            웃물: 잘 섞이지 못하고 위로 떠서 따로 도는 물 

            웃통: 1. 몸에서 허리 위의 부분  2. 위에 입는 옷

            센소리 ㅌ 을 만나도 접두사 웃- 의 ㅅ 은 꿋꿋하다.                            

                           ~ 은 접두사가 아니다. 그냥 . 따라서 사이시옷 표기법에 착실히 따른다.

                           ] 윗물, 윗사람, 윗넓이, 윗선, 아래윗집, 윗몸일으키기

                           ] 위쪽, 위층, 위팔, 위턱, 고위층, 위패, 위통

   위통: 물건의 위가되는 부분

 

- : 그해에 난 (식물, 동물, 그리고 사람에게도 쓴다.)

            ] 햇순, 햇사과, 햇과일, 햇김치, 햇곡식, 햇나물, 햇밤, 햇잎

            ] 햇병아리, 햇강아지, 햇소, 햇새, 햇비둘기 | 햇거지

            다른 접두어들과는 달리, - 은 센소리를 만나면 형태가 변한다.         

            ] 해팥, 해쑥

            ㅂ 앞에서는 햇밥, 햇벼와 같이 그대로 쓰지만, ㅆ 앞에서는 다르다.

            ] 햅쌀, 햅쌀밥

                           태양을 뜻하는 는 접두어로 쓰지 않는다. 따라서 다음은 사이시옷에 해당한다.

                           ] 햇빛, 햇살, 햇볕, 햇무리, 햇덩어리, 햇발

 

 

관련 기사: 99.9% 틀리는 단어, "뭐야 이상해" | 2013-07-24 | MK뉴스 Link

 

 

Posted by 몽자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