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두 박자국 - 정재승


​13쪽
인간은 과학적으로 탐구하기엔 너무 복잡한 존재이지만, 과학 아닌 것으로 탐구하기엔 너무 소중한 존재입니다.

25쪽
처음 해보는 일은 계획할 수 없습니다. 혁신은 계획으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혁신은 다양한 시도를 하고 계획을 끊임없이 수정해나가는 과정에서 이루어집니다. 중요한 건 계획을 완수하는 것이 아니라 목표를 완수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목표를 완수하기 위해 계획을 끊임없이 수정하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계획에 너무 많은 시간을 빼앗기지 않고, 끊임없이 바뀌는 상황에 맞춰 계획을 수정하면서 실행해나가는 과정에서 우리는 더 많은 것을 얻습니다. 특히 처음 해보는 일에서는 계획보다 실행력이 더 중요합니다.

29쪽
제일 높이 쌓은 팀에게 1만 달러의 상금을 겁니다. ...... 탑의 균형과 안정은 고려하지 않은 채 그저 높은 탑을 쌓으려고 노력합니다. ......시야가 좁아져서 '과제 집착형'으로 다가가게 된다는 겁니다.

38쪽
나이 들어 가장 많이 하는 후회 중 하나가 '이거 괜히 했다'라는 후회보다 '내가 그때 그걸 했어야 했는데'라는 후회라고 합니다.

58쪽
우리는 평소 길을 잃어본 경험이 별로 없죠. 길을 잃어본 순간, 우리는 세상에 대한 지도를 얻게 됩니다. 우리는 적극적으로 방황하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61쪽
인생을 마라토너가 아니라 탐험가의 마음으로 살아가시길 기대합니다.

67쪽
한 학회에서 우연히 브누아 망델브로(Benoit Mandelbrot) 교수님의 강연을 듣게 됐습니다. 그는 프랙털(fractal)이라는 개념을 세상에 내놓은 수학자입니다. ...... 망델브로 교수님 덕분에 '복잡계 과학(science of complexity, 자연이 만들어내는 복잡한 패턴과 역학적인 특성을 탐구하는 학문)'이라는 알게 됐습니다.

76쪽
선택의 패러독스(the paradox of choice)'라는 현상이 있습니다. 선택지가 많을수록 결정을 방해한다는 현상이지요.......​
왜 이런 일이 벌어질까요? 선택지가 많으면 구경하는 재미는 있지만, 내 선택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고 선택하지 않은 것에 대한 미련이 커지기 때문에, 구매로는 쉽게 이어지지 않는다는 겁니다. 선택지가 늘어나면 처음에는 새로운 선택지를 발견할 때마다 좋은 감정이 커집니다. 그런데 선택지가 점점 늘어날수록 나쁜 감정이 커져서, 어느 숫자를 넘어가면 오히려 만족도가 현저히 떨어집니다.

81쪽
결핍이 욕망을 만듭니다. 뭔가 부족해야 그 결핍 때문에 뭘 하고 싶다는 욕망이 생겨요.

92쪽
집에서 키우는 개와 들에서 자란 개 중에 누가 더 의사결정을 잘할까요?

119쪽
놀이는 인간의 내재적 본능이며 심지어 뇌의 여러 영역을 발달시켜주는 창조적인 행위인데, 왜 우리 사회는 놀고 있는 사람들을 못마땅하게 바라보는 걸까요?
​​
122쪽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자유가 우리 손에 있는 사회가 아니라, 시스템이 자유를 움켜쥐고 우리를 대하는 사회이지요. 우리는 이런 사회를 신자유주의라고 부릅니다. ...... 모두가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로 항상 가득 차 있는 시스템, 그들을 언제든지 내칠 수 있는 사회가 바로 신자유주의 사회입니다. 

124쪽
'나는 무슨 일을 하며 살아야 할까'라는 질문에 대답하려면, 내 즐거움의 원천인 놀이 시간을 들여다보아야 합니다.

135쪽
쥐들이 행동하고 판단하고 결정하고 실행에 옮길 때, 뇌의 두 영역이 특히 활발히 작동합니다. ...... 하나는 '목표지향 영역(goal-directed system)'입니다. 내가 지금 이걸 해서 뭘 얻을 수 있는지 그 목표를 생각한 다음에 가장 큰 보상을 얻을 수 있는 선택지를 찾아서 선택하는 거예요. ...... 또 하나는 이른바 '습관 뇌 영역(habit system)'입니다. 일상적인 과제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때에는 목표의 결과 값을 높이기보다는 인지적인 노력을 줄이려 애씁니다. ...... 이제부터는 선택하는 데 에너지를 별로 들이고 싶지 않게 돼요. ...... 자기가 좋아하는 일에 대해서는 기꺼이 그 에너지를 투자하지만,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일에 대해서는 습관이라는 방식으로 에너지를 최소화합니다. ...... 그러다 보니 우리의 일상은 습관으로 가득 차 있게 되었습니다.

144쪽
습관이라는 안락함 속에서는 평화롭고 예측 가능한 삶을 영위할 수 있지요. 반면 습관의 틀을 벗어나려는 노력은 버겁습니다. 때문에 인생의 리셋도 어렵습니다.

144쪽
인생에서 리셋은 왜 힘든 걸까요? 이유는 매우 자명합니다. 새로고침해야 할 마땅한 이유가 없기 때문입니다. ...... 그 절박함을 만들어내는 것이 새로고침을 할 수 있는 중요한 첫 단계입니다. ...... '메멘토 모리', 죽음을 기억하라는 방법을 사용해주세요. ...... 새로운 환경에 자신을 놓이게 하는 것도 굉장히 좋은 전략입니다.

154쪽
습관은 안락하고, 포근하고, 안전하게 우리의 삶을 여기까지 끌고 왔지만, 새로고침이 주는 뜻밖의 재미, 유쾌한 즐거움은 여러분의 삶을 더욱 풍성하게 해줄 겁니다.

170쪽
결국 징크스나 미신을 믿는 이유는 미래라는 굉장히 통제하기 어렵고 예측하기 힘든 상황에서 그것을 통제하기 위해 인과관계를 억지로 갖다 붙인, 그래서 마음의 위안을 얻으려는 노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75쪽
인간은 행복을 상태로 인식하지 않고, '기억'에서 찾는 경향이 있습니다. ...... 행복한 순간을 떠올려보라고 하면 과거의 한 순간에서 애써 찾지만, 당시엔 그 시간이 행복인지 인지하지 못한 경우가 허다합니다.
​​
291쪽
예전에는 대학이 '어떻게 살 것인가'를 고민하는 곳이었어요. 도시의 교양 시민을 양성하는 곳이었던 대학은 산업사회로 접어들면서 언제든지 기업에 투입할 수 있는 사업 인력을 양성하는 곳으로 바뀌었습니다.

305쪽
제4차 산업혁명이란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아톰 세계'를 그대로 '비트 세계'와 일치시킨 세상에서 벌어지는 산업 변화입니다. ...... 왜 이런 세상을 제4차 산업혁명이라고 부르냐고요? 이런 세상을 설명할 패러다임이 현재 없기 때문입니다. ...... 일하지 않더라도 인간의 존엄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기본소득을 제공하지 않으면, 더 이상 자본주의 시스템이 운행하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 이렇게 새로운 솔루션이 필요한 세상이 다가오기에, 우리가 그것을 '산업혁명'이라 부르는 겁니다.

292쪽
히피 운동은 1960년대 미국 샌프란시스코와 로스앤젤레스 지역의 젊은이들이 중심이 되어 기성의 사회통념, 제도, 가치관을 부정하고 인간성 회복, 자연으로의 회귀 등을 주장한 운동이었습니다. 그들은 사람들 사이의 위계질서나 수직적 계층 구조를 부정하고, 동등하고 평등한 사회를 꿈꾸었으며, 돈과 권력의 집중화에 반기를 들고, 국가 권력의 이름으로 자행되는 폭력인 전쟁에 반대했습니다. ...... 당시 캘리포니아에는 히피의 이상적인 정신을...... 테크놀로지를 통해서 구현할 수 있다고 믿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310쪽
정부와 은행, 카드회사는 막강한 중앙통제권을 유지하고 싶어 합니다. 거래를 중개하고 수수료를 받으며 살아가는 수많은 유통업체들은 개인 간 거래를 안전하게 해줄 수 있는 블록체인을 위협이라 여기겠죠? 탈중앙화된 세상을 두려워하며, 그런 산업이 성장하는 세상을 원하지 않습니다. 중간에서 중개수수료를 챙기는 사업이 워낙 많다 보니 이들의 저항이 무척 심합니다. 하지만 창작자가 더 많은 이익을 가져가고, 소비자는 더 적은 돈으로 그것을 즐기는 세상이 와야 합니다. 익명성을 통해 사생활은 보호하되 투명하게 데이터를 공유해야 합니다. 모든 창작과정과 거래과정이 정교하게 추적되는 세상이 와야 합니다. 화폐, 주식, 자산, 상품, 그 어떤 것도 될 수 있으나 아직 아무것도 아닌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혁명은 어떻게 시작되고 진화할까요? 

312쪽
테크 이상주의자들이 아주 먼 미래의 비전을 만들고, 실천가들이 그걸 하나씩 실천하고, 그게 더 나은 세상이라고 믿는 많은 사람들이 거기에 조금씩 동참하면서 혁명은 이뤄지죠.

313쪽
오늘날 테크놀로지는 그 어떤 것보다도 자본과 권력에 기생하고 좌우되면서도, 인간에게는 그것으로부터 벗어난 세상을 선사하기 위해 발달했습니다. 디지털 혁명과 제4차 산업혁명, 그리고 블록체인 혁명이 그 결과물입니다. 

322쪽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성공한 사람들은 위험 감수 성향보다는 위험 관리 성향이 강하다는 결과 말입니다. 그들은 모호한 상황에서는 쉽게 의사결정을 하지 않으며, 그 확률을 제대로 계산하려고 애씁니다. 계산 결과 확률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고 해도, 그것을 보수적으로 해석한다는 겁니다.
​​
327쪽
냉정하게 판단했을 때 왜 해야 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남들이 다 하니까 나도 따라가는, 크게 나쁜 건 아니니 우선 따라가고 보자. 이 안에도 좋은 점이 있어."라고 말하는 자신을 종종 발견하기도 합니다. 이 순간 우리는 우리 시대의 욕망과 요구, 기존의 시스템을 합리화하고 있는 겁니다. 다시 말해, 사회 안에서 의미를 찾고 강조하는 사람들은 시스템을 유지하고 싶어 하는, 혹은 시스템을 바꿀 노력을 굳이 하고 싶지 않은, 시스템을 따라가는 안일함을 합리화를 통해 감내하는 '순응자'의 길을 걷고 있는 겁니다. ...... 어쩌면 '철이 든다'는 것은 시대의 욕망을 나의 욕망으로 서서히 받아들이는 과정일지도 모릅니다.

343쪽
미국에서는 왜 퍼스트 펭귄 같은 스타트업이 잘 나오는 걸까요? ...... 스타트업을 시도했다가 실패해본 경험이 대기업에 취업한 경험 못지않게 좋은 경력으로 인정받습니다. 게다가 나이 제한도 없습니다. 실리콘밸리에서는 '대박을 터트리기까지 평균 4회 가까이 실패한다'는 통계를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실패를 격려하는 문화가 있습니다. 여러 번 실패해야 결국 성공한다는 걸 잘 알고 있습니다. 


201쪽
그 결과,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만들어지는 순간 평소 신경 신호를 주고받지 않던, 굉장히 멀리 떨어져 있는 뇌의 영역들이 서로 신호를 주고받는 현상이 벌어지더라는 겁니다. ...... 창의성은 전전두엽 같은 가장 고등한 영역에서 만들어지는 기능이 아니라, 뇌 전체를 두루 사용해야 만들어지는 능력이라는 겁니다.
...... 저도 글을 쓸 때 비슷한 원리를 사용합니다. 만약 DNA에 관한 글을 써야 한다면 DNA에 관한 책들은 별로 뒤적이지 않습니다. 오히려 문학 서적을 뒤적거리죠. 그런데 그곳에서 DNA를 설명할 수 있는 절묘한 예제나 비유를 찾게 되면, 그때부터 글이 저절로 술술 풀립니다.

218쪽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많이 주워 담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할지 몇 가지 연구결과를 소개하겠습니다.
우리가 바로 실천할 수 있는 것 중에 운동이 있습니다. ...... 격렬하지 않은 운동, 예를 들어 자전거 타기나 산책은 창의적인 발상에 매우 도움이 됩니다. ...... 수면도 매우 중요합니다. ...... 끝으로,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것이 독서, 여행, 사람 만나기입니다. ...... 창의적인 사람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창의적인 순간이 있을 뿐입니다.

 

279쪽
예전에는 창의성의 기원을 주로 몰입으로 설명해왔습니다 .다시 말해 뇌 전체가 한 가지 목적적 사고에만 집중할 때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나온다는 것이지요. 물론 그것도 맞겠지만, 완전히 반대로 뇌 전체가 비목적적인 사고를 하면서 이런저런 몽상을 할 때에도 불현듯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떠오르기도 한다는 게 이번 연구의 의미입니다.

291쪽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세상에 내놓고 만들어내는 사람들과 그것을 이용해 실제로 돈을 버는 사람들이 구별되는 세상이 만들어진 겁니다. 

 

330쪽
창의성 연구에 따르면, 양은 질을 예측하는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

331쪽
똑똑한 사람들의 가장 강력한 특징은 다른 똑똑한 사람들로부터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입니다.


[네이버 책] 열두 발자국 - 정재승

 

열두 발자국

《과학콘서트》 《알쓸신잡》 대한민국을 매혹시킨KAIST 정재승 교수의 최고의 강연이 펼쳐진다스마트한 선택을 위한 뇌과학의 지혜에서부터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의 기회를 발견하기 위한 과

book.naver.com

 

Posted by 몽자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