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말(한자어 또는 고유어)과 합성어를 이루느냐에 따라 사이시옷의 사용 여부가 달라지는 경향이 있다.

 

국숫상

성줏상

입맷상

자릿상

잔칫상

진짓상

찻상

안주상, 교자상, 제사상, 혼례상, 요리상 등 한자로 된 합성어에는 쓰지 않는다.

가겟세

길밋세

담뱃세

자릿세

텃세

증가세, 거래세, 소비세, 토지세, 전기세, 부유세 등 한자 합성에는 쓰지 않는다.

가짓수

나눗수

돈머릿수

머릿수

자릿수

햇수

횟수

번지수, 빈도수, 세대수, 횡재수 등 한자 합성에는 쓰지 않는다.

(질병)

콧병

귓병

뱃병

누엣병

뱃병

누엣병

화병, 울화병, 구루병, 몽유병, 불치병 등 한자 합성어에는 쓰지 않는다.

(용기)

한됫병

되들잇병

됫병

맥주병, 소주병, 식초병, 잉크병 등 한자, 외래 합성어에는 쓰지 않는다.

(생물)

볏과

갯과

돌고랫과

버드나뭇과

멸칫과

불가사릿과

개밋과

낙타과, 난초과, 장미과, 국화과 등 한자 합성어에는 쓰지 않는다.

전세

전셋값

전셋집

전셋돈

전셋배

전세가, 전세방, 전세권, 전세금 등 한자 합성어에는 쓰지 않는다.

접두사의 경우, 센소리 앞에서도 ㅅ을 그대로 쓴다.

덧-

빗-

숫-

웃-

첫-

풋-

헛-

덧무늬

빗면

숫밥

웃물

첫머리

풋돈

헛일

덧신

빗금

숫눈

웃돈

첫술

풋내기

헛수고

덧창

빗판

숫총각

웃통

첫출발

풋콩

헛총질

덧씌우개

빗천장

숫티

웃풍

첫딸

풋꼴

헛치레

 

 

Posted by 몽자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