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  희곡 쓰기의 즐거움 The Elements of Playwriting

     극작가가 된다는 것의 의미

     성공적인 극작가를 위한 길잡이

; 실질적 지침, 작가 및 연출가의 조언, 고전과 현대희곡의 예, 극작 연습문제

 

n  역자의 일러두기

     기본 독서 목록

에우리피데스

메데아

Medea

431

셰익스피어

햄릿

Hamlet

1600

맥베스

Macbeth

1604

헨리크 입센

인형의 집

A Doll's House

1879

손톤 와일드

우리 읍내

Our Town

1938

장폴 사르트르

비상구는 없다

No Exit

1944

테네시 윌리엄스

유리 동물원

The Glass Managerie

1945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A Streetcar Named Desire

1947

아서 밀러

세일즈맨의 죽음

Death of a Salesman

1949

시련

The Crucible

1953

사무엘 베게트

고도를 기다리며

Waiting for Godot

1953

해롤드 핀터

음식운반용 승강기

The Dumbwaiter

1957

로버트 앤더슨

인식의 충격

The Shock of Recognition

1967

존 필미어

신의 아그네스

Agenes of God

1982

 

     추가 독서 목록

셰익스피어

로미오와 줄리엣

Romeo and Juliet

1594

리어 왕

King Lear

1605

헨리크 입센

유령

Ghost

1881

오스카 와일드

어니스트 되기의 중요성

The Importandce of Being Earnest

1895

사무엘 베케트

크랩의 마지막 테이프

Krapp's Last Tape

1958

해롤드 핀터

관리인

The Caretaker

1960

에드워드 올비

동물원 이야기

The Zoo Story

1959

누가 버지니아 울프를 두려워하랴

Who's Afraid of Virginia Woolf?

1962

테네시윌리엄스

나이팅게일의 고백

Confessions of a Nightinggale

1964

아서 밀러

몰락 이후

After the Fall

1964

대가

The Price

1968

랜포스 윌슨

하틀 볼티모어

Hotl Baltimore

1973

피티 셰퍼

아마데우스

Amadeus

1979

 

 

I.    극작가

 

1.      선조 이해: 호기심을 자극하는 주제 및 인물에 관해 쓴 극작가들을 선별하여, 지면에 실린 글이 아닌 연출된 극의 측면에서 읽는다.

2.      가치관 확인

     신념, 신조, 확신, 규범을 통찰하고 우선순위를 매긴다.

     극을 통해 표현해야만 하는 중요한 사상은 극의 주제가 된다.

3.      인간상 확인

     인간의 구체적인 특성 중 경외하는 것과 경멸하는 것을 목록으로 작성한다.

     관객이 인물의 성격을 결정지으려면 그 인물이 무엇을 했겠는지 생각해 본다.

     각 특성을 보여주는 행동을 더한다.

     구체적, 입체적으로 창조된 인물은 추상적 신념인 주제를 관객과 효과적으로 소통케 한다.

4.      창작

     쓰지 않고는 못 배기는 것에 대한 열정과 확신으로 시작해 오직 쓰기로 연구하고 훈련한다.

     쓰려는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무엇이 좋은 희곡을 만드는가에 대한 나만의 혜안을 찾는다.

     빈 페이지는 나의 사상과 비전, 열정을 기다리고 있을 뿐이다.

     쓰는 동안은 판단을 피하고, 질적 향상은 초고 완성 후에 꾀한다.

5.      축조: 희곡을 쓰는 것이 아니라 극을 만드는 것이다. 무대를 지탱할 알맞은 양식과 접근법을 이용, 개조, 적용한다.

6.      진행: 무엇을 쓰든 규칙적으로 쓴다. 번개와 같은 신의 영감을 기다리는 동안에는 어떤 것도 쓰지 못한다.

7.      규칙: 오랫동안 인정받아온 희곡에 관한 기본 규칙을 거부하기 전 먼저 시도해 보고, 해당 규칙의 가치가 인정되면 필요에 따라 적용한다.

8.      인물 창조: 인물을 창조하는 것은 지각을 행동으로 표현하는 작업으로, 이 과정에서 나와 타인에 대한 감수성과 통찰력이 증대시킨다.

9.      무대화할 가치가 있고, 연출가가 만들고 싶어 하는 희곡을 쓴다.

 

II.   희곡

 

1.      정의

     그 자체로 처음, 중간, 끝으로 완결되는 구조화되고 통일된 이야기로

     극작가의 가치관을 표현하며

     입체적 인물과 인물의 행위를 유발하는 요소로

     절정에 이르는 갈등을 전개하고 개연성 있는 사건들을 구성해

     공연될 수 있도록 쓰인 글

     배우의 대사와 침묵, 행동과 무행동을 통해 전달되며

     현재 진행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믿는 관객으로 투사된다.

2.      갈등 - 희곡을 이루는 필수 요소

     전형: 한 개인(주인공)이 대상(목표)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대립하게 되는 힘(적대자), B(목표)과의 결혼을 원하는 A(주인공)과 이를 반대하는 양쪽 부모(적대자)

     조절: 목표를 이루려는 주인공의 의지와 이를 막으려는 적대자의 의지는 막상막하 수준이어야 하며 역전과 발견으로 균형의 이동을 반복하며 관객의 집중도와 긴장감 상승시킨다.

     역할: 인물이 곤경에 처했을 때 나타내는 반응으로 관객에게 메시지 전달

     표현: 자아 혹은 사회와 같이 추상적인 힘일지라도 구체적 인물로써 표출

     효과: 갈등의 자극에 따라 인물의 정서가 변화하면서 입체적이고 재미있는 인물 탄생

3.      시작, 중간, 종결의 균형

     시작: 주인공이 목표하는 것에 대해 동기를 부여받고 주요 행동 시작

     중간: 목적 성취를 위해 투쟁

     종결: 성공 혹은 패배와 그 결과 인물이 얻게 되는 일종의 교훈

4.      특성

     계발가능성: 탈고 후 다시 제작진과 배우에 의해 해석, 확장, 재창조

     명료성: 다수의 이해와 흥미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간결하고 정확한 전달력

     표현: 설명과 서술이 아닌 오직 대사와 행위를 담은 신scene으로만 소통

     시제: 절박한 미래를 앞둔 현재를 보여줌으로써 극대화되는 극적 효과

     시공: 광범위한 우주를 선택한 범위 내에 농축, 집중적으로 휘몰아치듯 전개

     화자: 모든 인물이 말하고 행동하는 객관적이고 집단적인 시점

     피드백: 연출상의 문제 또는 관객의 평가 등에 따라 거듭되는 퇴고

     삶에서 중요한 부분을 선택하고 그것을 구체화하여 예술적으로 재현

     정점: 관객을 압도하는 물리적 행위보다 심리적 행동에 초점이 맞춰질 때 정점에 도달

     개연성: 처음의 행동에 기초가 되는 규칙, 설정된 우주에서 시작해 끝까지 그 논리를 유지

     오락성: 일상의 세속적인 관심사로부터 연극 속 세계로 끌어들여 기분을 전환시키고 지적 논점들에 대한 관객의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기능

     통일성: 극작가가 관객과 소통하고자 하는 것이 명확할 때 통일성 유지 가능

     감정에 호소: 관객이 강한 감정을 체험할 때 희곡의 질과 소통 가능성 향상

     상상에 호소: 관객은 상상력을 통해 연극에 참여, 인물에 감정이입함으로써 극에 적극적으로 반응

 

III.  종류

 

1.      결정 기준

     주제: 사건의 양, 인물의 수, 시공간 움직임 등 주제의 범위에 따라 결정

     크기: 만들고자 하는 크기를 먼저 결정한 다음 적당한 재료를 선택

     탐구: 필요한 크기가 결정될 때까지 희곡 스케치

     신념을 표현하기에 적절한 캔버스를 선택하는 것이 최선

2.      모노드라마

     길이: 십 분에서 몇 시간으로 가변적

     인물: 무대에 서는 한 인물과 출현이 암시되는 무대 뒤 다른 인물

     갈등: 갈등 없이 인물의 성격화와 대사의 주의 깊은 언어 선택만으로 이끌어가거나 인물이 지금 해야만 하는 선택을 중심으로 갈등 축조 

3.      단막극

     길이: 30분에서 1시간 30, 대개는 약40

     인물: 필수적인 인물 둘에서 넷

     갈등: 과거나 미래를 함축하는 결정적인 단일 사건(행동)을 극화한 것으로, 해당 사건의 갈등에 초점을 맞추면서 행동의 일치 유지

4.      장막극

     길이: 8시간 반의 예외도 있지만 대개는 2시간에서 2시간 반 가량

     인물: 단막보다 다수

     구성: act > 비트beat > 분절segment > scene

     갈등: 하나의 주요 갈등과 몇 단계의 하위 갈등들

 

IV. 아이디어

 

1.      유형

     상황

a.     발생하는 사건 및 위기, 곤경에 처한 사람들에서 출발

b.     흥미롭게 사건을 묘사하면서 떠오르는 행위의 의미(주제), 연루된 사람들의 특성(인물)을 함께 기술

c.      : 필사적인 시간, 어두워질 때까지 기다려라, 대가, 사병 놀이

     인물

a.     인간의 특성, 심리, 영혼의 작용, 위대함의 근원, 정서적이고 지적인 반응

b.     인물의 측면 중 본질적 자질과 세부사항을 쓰고, 이를 보여주기 위한 사건(상황), 행동의 의미(주제) 쓰기

c.     : 로미오와 줄리엣,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아마데우스, 희한한 커플

     주제

a.     시대의 가치 및 쟁점, 논제

b.     주제를 직접적으로 서술하면서 논점을 확인한 다음, 희곡을 통해 소통하기 위한 절묘한 방법(관심을 불러일으키는 상황 및 인물) 고안

c.     : 시련, 횃불의 노래 삼부작, 메리 이그나티우스 누이는 널 위해 그 모든 것을 설명한다, 비상구는 없다

2.      포착

     크건 작건 간에 개개의 통찰력을 희곡에 사용할 수 있도록 포착한다.

     즉시 또는 전부 극화할 수 없다고 해도 아이디어의 가치를 섣불리 단정 짓지 않는다.

     참된 독창성은 자아에서 나온다. 일부러 독창성을 추구할 경우 유효한 아이디어를 묵살하거나 본질은 결여된 채 유행만 따르는 희곡을 만들 수 있다.

     인물, 상황, 대화, 이야기, 주제 등 세부사항이나 독창성이 어느 정도이든지 추후 사용을 위해 생각을 기록, 보존한다.

3.      발전

     최초의 사고를 확장하는 동안 다른 두 범주에 다시 초점을 맞추며 세부사항을 보탠다.

     주제를 표현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인물, 효과적인 상황을 찾고 보여줄 행동을 정한다.

     'What If ~?'를 활용해 나를 그 상황에 넣고 자유자재로 유도 질문을 따름으로써 인물에 생기를 불어넣는다.

4.      검토

     갈등에 기초하는가.

     주인공과 그의 목표, 목표를 향한 동기부여가 명확한가.

     적대자와 그의 방해, 방해를 향한 동기부여가 명확한가.

     갈등은 인물 간의 대립으로 표출되는가.

     인물 간의 대립은 행위로 전개되는가.

     미래를 암시하는 긴급하고 절박한 지금의 행위가 언제 시작되는가.

     사건은 주제와 인물을 보여주기에 충분한가.

     종결 부분에서 결론지을 방향을 알고있는가.

 

V.  인물

 

1.      연출가, 배우, 관객에게 극작가가 제공하는 인물에 관한 단서

     행동과 무행동, 대사와 침묵

     목표와 동기부여

     자극에 대한 감정의 변화와 반응하는 방식

     스스로에 의한 묘사와 외부에 의한 묘사, 무대 묘사와 극 전체의 배경 묘사

2.      배우가 인물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극작가가 인물 입체화에 활용하는 단서

     outside-in: 나이, 신체, 음성, 외모, 의상, 이름, 시간, 장소, 종교, 경제, 사회, 정치적 배경

     inside-out: 행동, 전기, 타인에 의한 묘사, 타인의 질문에 대한 본인의 답변으로 묘사

3.      실마리: 자신, 가족, 친구, 친척, 뉴스, 합성

4.      인물의 기능

     양면성

a.     각 인물은 수십 가지 세부조건을 지닌, 희곡과는 별개로 독립된 삶을 사는 존재다.

b.     극 전체의 논리와 필요에 기여하고 구체적 기능을 수행하는 공헌자다.

     주인공

a.     특정 목표를 이루려는 강력한 의지를 가지고 대등한 힘과 맞서는 희곡의 중심인물

b.     희곡에 행동, , 통일성 부여, 플롯의 구조화에 기여, 주제 암시

c.     관객의 감정이입, 극에 대한 흥미, 집중을 부추기는 존재

     적대자

a.     주인공의 투쟁 대상으로서 막강한 힘을 지닌 하나 이상의 인물

b.     주인공의 입체화, 희곡의 구조화에 기여

     부차적 인물

a.     주인공이 추구하는 추상적 주제를 구체적 목표화하는 데 필요한 인물

b.     주인공과 적대자의 특성을 강조하기 위해 필요한 인물

c.     주인공의 내면을 보여주기 위한 인물

5.      인물의 조건

     입체적이고 흥미 있는 인물은 9:1의 빙산처럼 구조화돼 있다.

     각 인물은 자신의 목표와 관련된 뜨거운 감정을 지닌다.

     사건, 주변인물에 의해 명백한 동기를 부여받은 주인공은 관객이 완전히 감정이입할 수 있는 대상이 된다.

     주인공과 적대자는 근거가 뒷받침된 대립적 성질을 보이면서도 희곡 내에서 조화를 이룬다.

     하나의 기본 특징을 명확히 세우고 나서 그 위에 다른 인격적 요소를 덧붙여 창조한다.

     고유의 특성과 욕망을 표현하려고 선택적으로 확대된, 고양된 현실의 형태다.

     비범하고 괴팍한 인물은 극에 흥미와 활력을 더한다.

     살아 있게 할 수 있는 편한 수로 제한, 필수적 인물 외에는 빼버린다.

 

VI. 플롯

 

1.      시작

     도입: 인물, 관계, 시간, 공간, 상황 등 배경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전조: 전개될 사건을 암시하며 긴장감을 높인다.

     상징물: 전조와 짝을 이루며 등장, 이후 결정적인 순간에 기여한다.

     선동: 극 시작 이전의 주요 사건으로서 플롯을 촉발하는 강한 동기부여가 된다.

     공격점: 평정을 깨고 행동을 시작하게 하며, 이후 내내 지속되는 행동들을 발생시킨다.

     발단: 행동을 촉발할 가장 적절한 지점을 선택하여 희곡의 시작을 구상한다.

     관객을 극의 세계로 끌어들이되 최대한 빨리 중간으로 돌입해 행동으로 분위기를 조성한다.

     상상력을 불러일으키는 함축적인, 노골적 설명 없이 교묘히 숨겨진 도입부가 최선이다.

2.      중간

     주인공의 목표: 공격점이 주인공에게 목표를 제공한다.

     주요 극적 질문 Major Dramatic Question: 절정에 등장해 행동을 끝맺는다.

     분규: 주인공이 목표를 이루지 못하도록 방해함으로써 희곡의 긴장감을 만들어 낸다.

a.     주인공과 대립하는 적대자들이 발생시키는 장애물

b.     수치심, 공포, 의심, 알코올 중독 등 주인공 개인적 장애물

c.     중요한 정보 및 사실의 발견

d.     초자연적, 정신적, 육체적 장애물

e.     오해로 인한 갈등

f.       새로운 인물의 등장 또는 기존 인물의 퇴장

     서스펜스: 하나의 막은 주요행동을 완성하면서 동시에 다음 막에 대한 호기심을 일으킨다.

     절정: 공격점과 인과관계로 연결, 이때 제기된 MDQ에 답변을 내놓는다.

3.      종결

     갈등이 해결됨으로써 평정을 회복한다.

     대단원: 느슨한 결말을 마지막으로 굳게 결합시킨다.

     문제제기: 희곡이 제시한 딜레마를 관객 스스로 생각해보도록 암시나 유추를 사용한다.

     카타르시스: 인물의 행동과 감정의 결론으로 작가가 극에 부여하는 기능이다.

 

VII.대사

 

1.      정의: 대화는 대사와 침묵 인물들이 행하는 것으로서 서로 엇갈리게 행동하는 인물 간의 갈등을 표현한다.

2.      특징

     실제와 달리 인물과 플롯을 위해 신중히 선택되어 극적 긴장과 갈등을 이룬다.

     소설과 달리 다수에게 명쾌하고 흥미로워야 한다.

     문학과 달리 인물과 상황에 적합하다면 문법적 오류, 형식의 파괴는 얼마든지 허용된다.

3.      기능

     불길한 미래를 암시하고, 긴장과 행동을 부추긴다.

     능동적이고 활기찬 대화는 극을 박진감 있게 진전시킨다.

     인물의 감정을 전달하고 관객에게 그에 상응하는 느낌을 일깨운다.

     주제를 표현 또는 함축한다.

     희곡의 어조를 드러낸다.

     관객의 상상력을 자극한다.

     대화는 인물을 반영하고 인물은 대화를 창조한다.

     인물의 개성, 욕구, 사상, 감정, 관계를 보여주고, 각 인물을 구분 짓는다.

4.      포착

     : 주변사람들의 대화에 귀 기울여 단어선택, 리듬, 문장구조 등 대화의 특징을 알아낸다.

     배우: 배우의 입을 통해 대사를 들어보고 수정하거나 제안을 참고한다.

     필사: 다른 극작가의 작품을 연구, 필사한다.

     인물: 인물 스스로 이야기하는 것을 경청한다.

     여과: 무질서한, 근거없는, 과장된 대화를 걸러낸다.

5.      기술

     기본 정보 소통

a.     인물의 이름, 인물 간 관계, 사건 및 상황을 전달하여  관객을 극으로 끌어들인다.

b.     중요한 정보는 적어도 세 번 반복하되 간접적으로 바꾸어 사용한다.

c.     구체적이고 분명한 대사는 관객의 신뢰와 이해를 돕는다.

d.     혼돈의 가능성이 있는 대명사는 명사로 대치해 소통을 강화한다.

     생략

a.     적절한 생략으로 인물의 정신적, 감정적 상태를 보여준다.

b.     배우의 혼란을 막기 위해 괄호 안에 문장의 나머지를 넣어 의미를 분명히 한다.

     차단

a.     대화는 흔히 서로의 말을 가로막으며 끼어들고 옥신각신한다.

b.     인물의 감정이 고조됨과 동시에 관객 역시 긴장하고 지켜본다.

     지시문

a.     간단한 몸짓 또는 무대 이용으로 구구절절한 대사를 대신한다.

b.     무대 위에서 행동하는 배우들을 보면서 쓰듯 인물에게 생동감을 불어넣는다.

     배치: 문장의 처음, 중간, 끝의 순서를 바꿔 배치함으로써 강조하려는 내용을 부각시킨다.

     독백과 방백

6.      주의

     무의미한 반복: 희곡의 전진을 방해하고 인물을 어리석어 보이게 한다.

     과거 시제: 희곡의 초점은 현재와 미래에 맞춰져야 한다.

     불필요한 대사 첫머리의 감탄사: , 글쎄,

     진부한 표현

     길고 복잡한 문장: 독자의 눈이 아닌 청자의 귀를 겨냥, 단순하고 직접적인 대사를 쓴다.

     호흡과 에너지: 대사를 전달할 배우의 호흡과 에너지를 고려해 직접 낭독해 본다.

     긴 대사(4개 이상의 문장) 점검

a.     긴 대사를 가로막고 싶어 하는 다른 인물에게 기회를 준다.

b.     하나의 생각에 대한 표현만을 남기고 다음 대사로 넘긴다.

c.     충분한 동기부여를 순반한 긴 대사는 허용될 수 있다.

d.     긴 대사의 잦은 등장으로 희곡의 속도가 방해 받지 않도록 한다.

e.     미숙한 극작가는 장황하게 설명하며 긴 대사를 쓴다.

     암기화: 자연적이고 논리적인 원인과 결과의 흐름을 갖는 대사는 배우가 암기하기 쉽다.

     보이는 발화자의 대사가 관객이 이해하기 쉬으므로 무대 뒤의 대사는 신중히 사용한다.

     발음: 애매한 발음으로 배우의 집중력을 흐트러뜨리거나 관객의 이해를 방해하지 않는다.

 

VIII.      검토

 

1.      초고

     초고는 혼자서만 간직한다.

     초고 완성 후 투철한 분석력으로 수정 작업을 신중히 거친다.

2.      혼자

     희곡 전체를 큰 소리로 대본을 읽으며 필요한 부분을 체크하고 수정한다.

     주인공부터 부차적 인물까지 한번에 한 인물의 대사만 큰 소리로 읽으며 성격화를 점검한다.

     냉정하고 객관적인 검토를 위해 얼마간은 희곡을 덮어둔다.

     더 이상 수정할 곳을 찾을 수 없을 때까지 과정을 반복한다.

3.      같이

     배우 및 연출가와 함께 작업하면서 수정에 도움을 받는다.

     배우가 읽는 대사를 녹음해 두거나 들으면서 필요한 부분에 체크한다.

     인물에 관해 배우를 지도하거나 배우가 질문하는 것을 피한다. 상상력을 발휘하게 한다.

     대본 읽기를 마친 후 캐릭터와 대사에 대한 배우의 비평과 의문점을 유도, 경청한다.

     더 이상 수정할 곳을 찾을 수 없을 때까지 과정을 반복한다.

     배우와 연출가가 캐릭터를 잘 파악했다면, 즉흥적인 실험으로 상황을 발전시키고 부족한 점을 발견하거나 인물에 입체감을 더할 수 있다.

     공신력 있는 전문가에게 비평을 구한다.

     비평을 경청하되 수락과 거절은 스스로 결정한다.

     숨은 뜻, 말하지 않는 것까지 포착, 이해한다.

4.      주제 관련 체크리스트

     내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그 목표를 어디서 성취하고 어디서 놓치는가?

     희곡은 그 자체로 완결되는가? 의도한 것이 희곡 내에서 성취되는가?

     희곡의 강도는 중요한 것을 잘 드러내는가?

     행동의 가능성, 개연성, 동기부여가 뒷받침되며, 주제를 향해 통일성을 유지하는가?

     현재로 설정한 행동은 절박하며 동시에 미래에 대한 궁금증을 유발하는가?

     압축과 확대, 삭제와 반복이 적절한가?

     제목은 중요한 의미를 함축하는가?

     주인공의 목표, 인물의 갈등은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가?

     주요 극적 질문은 공격점에서 확립되어 절정에서 매듭짓는가?

     주제를 직접 이야기하는 커튼스피치를 범하지는 않았는가?

     갈등은 분명하고 명확한가?

5.      인물 관련 체크리스트 주인공

     주인공의 필요성과 존재감이 명확한가?

     극의 초반에 나타나는가?

     공격점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가?

     가시적, 지배적, 능동적, 절대적, 개연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는가?

     목표에 관한 계획을 주인공이 가지고 있는가? 관객도 이를 명확히 알 수 있는가?

     행동은 목표와 일맥상통하는가?

     장애물, 역전, 실패에 적절하고 힘있게 반응하는가?

     내가 의도한 주인공에 대한 관객의 감정이 이루어졌는가?

6.      인물 관련 체크리스트 적대자

     주인공과 대립하는 적대자의 존재감이 명확한가?

     적대자의 목표는 명확한가? 근거는 신뢰할 만한가?

     대등한 힘을 가지고 충분한 행동을 취하는가?

7.      인물 관련 체크리스트 모든 인물

     각 인물은 꼭 필요한가? 몇 명을 하나로 결합할 때 더 견고해지진 않겠는가?

     비슷한 인물의 등장으로 극이 단조롭진 않은가? 대조로 긴장을 키울 수 있는가?

     자극에 적절히 반응하며 자극으로 인해 변화하고 진보하는가?

     설득력을 가지고 의도한 감정을 관객에게 불러일으키는가?

     희곡 내 제 역할을 다하되 자체적으로 독립된 인생을 가지는가?

     인물의 등장은 극의 질을 위한 것인가, 작가의 편의를 위한 것인가?

8.      대화 관련 체크리스트

     몇 개의 단어를 하나로 줄이거나 지워도 무방한 부분은 없는가?

     어휘, 표현, 생략, 방해, 길이 등이 다채로운가?

     구어체로서 배우가 자연스럽게 말할 수 있는가?

     각 인물은 그만의 대사양식을 보이는가?

     극작가의 지성이나 교양을 과시하는 부분은 없는가? 수정, 삭제가 가능한가?

9.      구성 관련 체크리스트 시작

     흥미롭게 관객의 호기심을 유발하는가?

     인물의 이름과 확실한 특징이 드러나느가?

     선동적인 사건, 공격점이 평정을 깨면서 주인공의 목적의식을 일깨우고 행동을 변화시키는가?

     도입부는 치밀하게 미래로 돌입하는가?

10.   구성 관련 체크리스트 중간

     분규, 장애물, 역전, 발견의 수가 적절한가?

     등장과 퇴장이 제대로 기능하는가?

     절정은 공격점에 연결되는가?

11.   구성 관련 체크리스트 종결

     주인공의 목표와 절정, 주요 극적 질문에 대한 명료한 해답이 유기적으로 연결, 제시했는가?

     멈추지 않고 종결했는가?

12.   관객 관련 체크리스트

     타킷으로 하는 관객의 눈으로 볼 때 수정할 부분이 있는가?

     언제, 어디서 공연되기를 기대하는가? 희곡은 그 공연에 호소력을 가지는가?

     내가 듣고 싶은 비평은 어떤 것인가? 그러한 비평을 듣기 위해 수정할 부분은 어디인가?

     내가 보고 싶은 관객의 반응은 어떤 것인가? 각 요소의 결합은 그 반응을 향해 있는가? 

 

IX. 출력

 

1.      관련 지침서가 아닌 공연 관계자들이 선호하는, 현재 통용되는 형식을 따른다.

2.      희곡을 보내려는 곳에서 특별히 요구하는 형식이 있다면 그 형식을 따른다.

 

 


희곡쓰기의 즐거움

저자
루이스E.캐트론 지음
출판사
예문 | 1999-04-01 출간
카테고리
예술/대중문화
책소개
희곡의 실제적인 지침들, 작가들과 연출가들이 언급한통찰력있는 인...
가격비교 글쓴이 평점  

 

 

 

Posted by 몽자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