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외 - 이때는 쓰기도, 안 쓰기도 한다

에 받침이 없고 를 센소리로 발음하는데도, 일부 접미사들은 사이시옷을 거부한다.

대체로 한자어와 외래어의 경우, 사이시옷이 빠져 있다.

순우리말이 이루는 합성어 겹씨는 겸손하게 사이시옷을 받아들인.

 

-

          값을 나타내는 접미사 -() 앞에는 사이시옷을 두지 않는다.

            ] 소매가, 도매가, 소비자가, 거래가, 매매가, 수매가, 판매가, 출고가, 시가, 저가,

            저가, 중저가, 최저가, 최고가, 고가

                           vs

                           우리말 에는 사이시옷 규칙을 고스란히 적용한다.

                           ] 전셋값, 시셋값, 도맷값, 나잇값

 

-

          증명서를 뜻하는 접미사 -()을 붙는 말에도 앞에 사이시옷은 없다.

            ] 면허증, 허가증, 검사증, 권리증, 등기증, 인수증, 인가증, 특허증, 접수증, 참가증

            제대증, 휴가증, 출고증

 

          증상이나 병을 뜻하는 접미사 -()도 마찬가지다.

            이 순우리말, 외래어, 한자어, 어떤 것이든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다.

            모두 []으로 발음한다.

            ] 현기증, 건조증, 실어증, 자폐증, 공포증, 경화증, 탈모증

            ] 구더기증, 말짓기증 | 아메바증, 알칼리증

 

~

            질병을 뜻하는 ()

            vs

            곱삿병과 구루병은 같은 뜻이다. 순우리말과 한자어라는 것만 다르다.

            곱사처럼 이 우리말이면 사이시옷을 쓰고, 구루처럼 한자어면 쓰지 않는다.

            모두 []으로 발음한다.

            ] 귓병, 콧병, 뱃병

            ] 화병, 불치병, 당뇨병, 몽유병, 피부병, 향수병, 시대병, 공주병, 광우병

 

            액체나 가루를 담는 용기를 나타내는 ()

            이 외래어 또는 한자어일 때,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다.

            유리병처럼 []으로 발음할 때나, 소주병처럼 []으로 발음할 때나 쓰지 않는다.

            ] [] 집기병, 대병

            ] [] 소주병, 맥주병, 향수병, 산소병, 식초병, 생수병, | 잉크병

            링거병, 요구르트병은 통상적으로 사용하지만, 표준어로 등재된 단어가 아니다.

                          이 순우리말일 경우 규칙을 따르는 것으로 보인다.

                           에 받침이 있으면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다.

                           ] 기름병, 눈금병, 방울병           

                           [호리병]처럼 를 된소리로 발음하지 않아도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다.

                           ] 호리병, 고리병, 귀때병, 부리병, 씻기병, 자라병, 오리병, 황새병

                           귀때병: 병에 담긴 액체를 조금씩 따르기 좋게 따로 가느다란 부리를 낸 병

                          에 받침이 없고 를 세게 발음할 때 그리고 이 우리말일 때

                           적지만, 그래도 사이시옷이 쓰인 예가 있다!

                           모두 []으로 발음한다.

                           ] 됫병, 한됫병, 되들잇병

                           됫병: 한 되를 담을 수 있는 분량의 병 = 한됫병 = 되들잇병

 

~

            업무 부서를 뜻하는 접미사 -()

            사이시옷 규칙에서 예외다. 모두 한자어와 합성된 말이다.

            ] 원무과, 정보과, 학생과, 인사과, 총무과

            자재과, 구매과, 경리과, 세무과도 마찬가지지만, 이들은 표준 단어가 아니다.

           

            학과나 전문 분야를 나타내는 단어 ()

            ] 내과, 외과, 소아과, 비뇨기과, 피부과, 정신과, 외래과

            ] 국어과, 사회과, 이과, 의과, 수의과대학

            진료과, 마취과, 경제과, 수의과는 많이 쓰지만 표준 단어로 등재돼 있지 않다. 


           
()를 생물 분류학상의 단위로 쓸 때 (> > )

            한자어를 만나면, 사이시옷은 없다.

            ] 국화과, 장미과, 난초과, 낙타과

                           순우리말과 합성된 단어에만 사이시옷 규정에 따라 ㅅ 을 넣는다.

                           ] 잉엇과, 고양잇과, 갯과, 코끼릿과, 개미핥깃과, 가짓과, 버드나뭇과

 

~

            문장에서 단어의 쓰임을 가리킬 때 붙이는 ()

            한자어와 합성어를 이루면서, 사이시옷 없이 센소리로 읽는다.

            ] 주격, 부사격, 비교격, 소유격

 

~

            경기에서 표적에 공을 넣었을 때 쓰는 외래어 (goal)

            한자어, 순우리말, 외래어와 합성어를 이룰 때, 모두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다.

            에 받침이 있으나 없으나 마찬가지다.

            ] 추가골, 선제골, 결승골

            ] 끝내기골, 소나기골

            ] 피케이골, 페널티킥골

 

 

 

Posted by 몽자크
,